
혈액 검사만으로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관련 구인두암의 발병 위험을 최대 10년 전부터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구인두암은 편도, 혀 뒷부분, 연구개 등 목 안쪽 구인두 부위에 생기는 암으로, HPV 감염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미국 매사추세츠종합병원과 브리검 여성병원 연구팀은 HPV 관련 구인두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대상은 HPV 관련 구인두암 환자 28명과 같은 연령·성별의 대조군 28명이었으며, 이들의 혈액은 암 진단 약 1~10년 전 미리 채취·보관돼 있던 것이었다. 연구팀은 이 샘플을 활용해 HPV 전유전체(전체 유전 정보)를 정밀 분석하는 새로운 액체 생검 기법과 HPV 항체 검사를 병행했다. 액체 생검은 혈액이나 체액 속에 떠다니는 암세포 조각이나 유전 정보를 분석해 암을 진단·추적하는 검사 방법이다.
그 결과, 환자 28명 중 22명의 혈액에서 암 발생 수년 전부터 ‘순환 종양 HPV DNA’가 검출됐다. 순환 종양 HPV DNA란 HPV로 생긴 암세포에서 떨어져 나온 DNA 조각이 혈액 속에 존재하는 것을 뜻한다. 최대 7.8년 전까지 검출할 수 있었으며, 민감도(암 환자를 제대로 찾아내는 비율)는 79%, 특이도(암이 없는 사람을 정상으로 정확히 구분하는 비율)는 100%였다. 진단 4년 이내일수록 정확도가 특히 높았고, 기존 항체 검사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대조군 28명의 혈액에서는 HPV DNA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어 추가 검증을 위해 환자와 대조군을 포함한 별도의 독립 집단 306명을 분석했다. 이 경우 민감도는 96%까지 높아졌고, 최대 10.3년 전까지 조기 발견이 가능했다.
연구진은 “혈액 속 HPV DNA 검출이 단독으로, 혹은 기존 혈액 검사와 함께 활용된다면 향후 구인두암 조기 진단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대상자가 많지 않고, 추가로 분석된 집단의 특성이 충분히 공개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암연구소 저널(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9월호에 게재됐다.
미국 매사추세츠종합병원과 브리검 여성병원 연구팀은 HPV 관련 구인두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대상은 HPV 관련 구인두암 환자 28명과 같은 연령·성별의 대조군 28명이었으며, 이들의 혈액은 암 진단 약 1~10년 전 미리 채취·보관돼 있던 것이었다. 연구팀은 이 샘플을 활용해 HPV 전유전체(전체 유전 정보)를 정밀 분석하는 새로운 액체 생검 기법과 HPV 항체 검사를 병행했다. 액체 생검은 혈액이나 체액 속에 떠다니는 암세포 조각이나 유전 정보를 분석해 암을 진단·추적하는 검사 방법이다.
그 결과, 환자 28명 중 22명의 혈액에서 암 발생 수년 전부터 ‘순환 종양 HPV DNA’가 검출됐다. 순환 종양 HPV DNA란 HPV로 생긴 암세포에서 떨어져 나온 DNA 조각이 혈액 속에 존재하는 것을 뜻한다. 최대 7.8년 전까지 검출할 수 있었으며, 민감도(암 환자를 제대로 찾아내는 비율)는 79%, 특이도(암이 없는 사람을 정상으로 정확히 구분하는 비율)는 100%였다. 진단 4년 이내일수록 정확도가 특히 높았고, 기존 항체 검사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대조군 28명의 혈액에서는 HPV DNA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어 추가 검증을 위해 환자와 대조군을 포함한 별도의 독립 집단 306명을 분석했다. 이 경우 민감도는 96%까지 높아졌고, 최대 10.3년 전까지 조기 발견이 가능했다.
연구진은 “혈액 속 HPV DNA 검출이 단독으로, 혹은 기존 혈액 검사와 함께 활용된다면 향후 구인두암 조기 진단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대상자가 많지 않고, 추가로 분석된 집단의 특성이 충분히 공개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암연구소 저널(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9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