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아기를 달래는 속도보다 방식이 더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아기 울음을 빨리 그치게 하려면 달래는 속도보다 방식에 더 신경 써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더럼대 잔나 클레이 교수와 독일 라이프니츠 교육연구·정보연구소(DIPF)의 카를로 브레덴 연구팀은 영국 도시 지역과 우간다 농촌 지역의 엄마와 아기의 상호작용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아기가 울 때 엄마가 어떤 방식으로 달래는지 분석한 결과, 영국 엄마들은 반응 속도가 더 빨랐지만, 아기의 회복 속도는 오히려 우간다 아기들이 더 빨랐다고 밝혔다. 이는 “문화적 맥락 속에서 형성된 달래기 방식이 아기 감정 조절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연구는 실험실이 아닌 일상 환경에서 생후 6개월 된 82쌍의 엄마와 아기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아기가 울거나 칭얼대며 불편함을 표현할 때, 엄마의 반응과 달래는 행동, 그리고 아기의 회복 과정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영국 엄마들은 아기가 울면 즉각 달래기 시작했지만, 아기 성장과 함께 모유 수유와 포옹 같은 신체 접촉은 줄고 말로 달래는 방식이 늘어났다. 반면 우간다 엄마들은 상대적으로 반응은 느렸지만, 아기의 나이와 관계없이 모유 수유와 신체 접촉 중심의 달래기 방식을 유지했다. 이 때문에 영국 아기들보다 우간다 아기들이 더 빨리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팀은 “반응이 느린 우간다 엄마들이 신체 접촉을 통해 아기의 빠른 회복을 끌어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단순히 반응 속도보다 문화적 양육 방식 자체가 아기 회복력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브레덴 박사는 “돌봄 전략은 환경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서구에서 통용되는 ‘최적 양육’ 개념이 보편적으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8일 ‘발달 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