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전세계적으로 당뇨병 유병률은 급증하고 있지만 정작 이들의 당뇨병에 대한 인식과 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 상당수가 관리에 미흡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은 2000년부터 2023년까지 전 세계 204개국의 당뇨병 현황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당뇨병이나 혈당 조절 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 중 55.8%만 의료기관의 진단을 받았다. 이 중 91.4%가 약물 치료를 받고 있었지만, 혈당을 ‘최적’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 환자는 전체 당뇨병 환자의 21.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심장마비, 뇌졸중, 신장질환, 시력 문제, 신경 손상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혈당 관리가 중요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저자 로린 스태퍼드 연구원은 “절반 가까이가 자신의 병의 심각성을 모르고 산다면, 당뇨병은 조용한 팬데믹이 될 수 있다”며 “특히 청년층에서 당뇨병이 과소 진단되는 문제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당뇨병 전 단계에서 당뇨병을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체중 관리가 핵심이 돼야 한다. 유럽심장학회에 따르면 현재 본인 체중의 5% 이상을 감량하면 당뇨병 전단계인 사람뿐 아니라 이미 당뇨병이 생긴 사람도 혈당·혈압 등의 수치가 개선된다. 호주 디킨대 연구에 따르면, 기저 공복혈당치가 높으면 회복률이 낮고 당뇨병 진행률이 더 높아지는 경향이 관찰됐다. 또한 비만, 복부비만, 낮은 HDL콜레스테롤은 정상혈당 회복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비만과 복부비만은 당뇨 진행의 강력한 예측 인자로 확인됐다.

다만 식이요법에만 의존하지 말고 운동을 꼭 하는 게 좋다. 당뇨병 전단계로 진단받은 사람들이 식이요법만으로 체중의 10%를 감량했을 때보다,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며 체중의 10%를 감량했을 때 인슐린 저항성 관련 지표가 두 배 이상 더 개선됐다는 미국 워싱턴대 연구 결과가 있다.

운동은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을 병행하는 게 좋다. 유산소 운동에는 걷기, 자전거 타기, 조깅, 수영 등이 있고, 저항성 운동은 근력을 이용해 무게나 저항력에 대항하는 운동이다. 이러한 운동을 중등도 강도로 하루 30분 이상 1주일 내내 실시하는 게 가장 좋다. 식사할 땐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되 과식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 아침밥은 반드시 챙겨 먹고, 덜 짜고, 덜 달고, 덜 기름지게 먹어야 한다. 균형 잡힌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잠은 7~8시간 충분히 자는 등 기본적 생활습관을 꾸준히 실천하는 게 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