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건강한 서울’ 종합계획 발표

이미지
오세훈 서울시장이 10일 서울시청에서 건강도시 서울 종합계획 ‘더 건강한 서울 9988’ 기자설명회를 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올해 하반기부터 시민 누구나 자신의 체력 상태를 측정한 후 맞춤형 운동 처방을 받을 수 있는 ‘체력인증센터’를 서울 내 자치구마다 1곳씩 운영한다. 흰쌀밥 대신 통곡물·잡곡밥을 선택할 수 있는 식당도 늘리고,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운동할 수 있는 ‘걷고 싶은 계단’도 서울 시내 곳곳에 마련한다.

10일, 오세훈 시장은 시청에서 이런 내용을 토대로 하는 ‘더 건강한 서울 9988 – 3·3·3’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건강한 습관이 생활의 일부가 되도록 해 2030년까지 서울시민의 건강수명을 3세(70.8→74세)가량 높이고, 운동 실천율도 3%p(26.8→30%) 올리는 게 목표다. 오 시장은 “개인 실천을 넘어 시민 맞춤 정책과 사회시스템으로 시민건강을 뒷받침하겠다”라며 “건강을 시정 중심 가치로 끌어올려 세계적인 ‘건강 도시’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먼저 시는 시민 누구나 체력 상태를 측정하고 운동 처방을 받을 수 있는 ‘체력인증센터’를 2030년까지 100곳 운영한다. 우선 올해 하반기부터 자치구별로 한 곳씩 지정·운영할 예정이다.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체육 축제도 늘린다. 올가을 시민 5000명이 걸어서 마라톤을 즐길 수 있는 ‘느림보 마라톤 대회’를 연다. 날씨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스포츠실’도 2030년까지 100곳으로 늘린다.

건강한 먹거리 도시를 만들기 위해선 ‘통쾌한 한끼’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외식이나 배달 시에도 정제된 흰쌀밥 대신 통곡물·잡곡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으로, 참여 업소에는 인증마크를 부여하고 향후 배달앱과도 연계한다. 올해 참여 업소 1000곳을 시작으로 내년 3000곳, 2030년까지 총 1만500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이들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편의점과 학교 매점을 중심으로 어린이 눈높이 진열대에는 고염·고당식품은 빼고 건강식품을 우선 배치하는 ‘우리아이 건강키움존’을 본격 도입한다. 내년 300곳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2000곳으로 확대한다.

음료, 라면, 과자류 등의 당·나트륨 함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가공식품 영양등급제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균형 잡힌 식단을 적용하는 단체급식 ‘서울미래밥상’ 적용 급식소도 올해 500곳에서 시작해 2030년까지 300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초고령사회 진입에 맞춰 어르신들의 ‘건강한 노화’도 챙긴다. 우선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서남병원, 동부병원 등 4개 시립병원에 ‘노인전문진료센터’를 신설한다. 내과·가정의학과·재활의학과 등 다분야 협진을 통해 환자 선별부터 치료, 퇴원 후 지역사회 연계까지 원스톱 진료를 제공한다.

어르신들이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집 가까운 곳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해주는 ‘서울 건강장수센터’도 올해 5개 자치구 13곳에서 내년 전체 자치구 43곳으로 확대한다. 2030년까지 10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맞춤형 방문 건강관리 서비스도 확대하고, 만 45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치매예방관리 플랫폼 '브레인핏45'도 이달부터 시범 운영한다.

이번 계획에는 저속노화 개념을 국내에 소개한 것으로 알려진 정희원 서울건강총괄관이 적극 참여해 정책 완성도를 높였다고 시는 소개했다. 정 총괄관은 “꽤 오랜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통쾌한 한끼, 서울체력 9988 등 당장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있고 궁극적으로는 의료비 및 돌봄비 지출 감소, 건강 수명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