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작열감증후군은 특별한 상처나 이상이 없는데 혀가 타는 듯이 화끈거리며 입안이 마르는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당뇨병은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원인 중 하나인데요. 관련 질문 짚어봤습니다.
<궁금해요!>
“입안이 바짝바짝 마르고 타는 듯한 작열감이 들어서 하루 종일 얼음, 차가운 물 등을 달고 삽니다. 검색해보니 당뇨병일 수 있다던데 정말인가요?”
Q. 당뇨병 때문에 입안 건조하고 따가울 수 있나요?
<조언_정진우 서울대치과병원 구강내과 교수>
A. 혈당 검사 후 적절한 치료 받아야
<궁금해요!>
“입안이 바짝바짝 마르고 타는 듯한 작열감이 들어서 하루 종일 얼음, 차가운 물 등을 달고 삽니다. 검색해보니 당뇨병일 수 있다던데 정말인가요?”
Q. 당뇨병 때문에 입안 건조하고 따가울 수 있나요?
<조언_정진우 서울대치과병원 구강내과 교수>
A. 혈당 검사 후 적절한 치료 받아야
질문주신 분이 겪는 증상은 구강작열감증후군이 의심되며 당뇨병 조기 경고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당뇨병이 있으면 일반인보다 구강작열감증후군 발병 위험이 2~5배 높으며 아직 진단받지 않은 당뇨병 전 단계에서도 구강작열감증후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당뇨병으로 인한 혈당 불안정 및 인슐린 저항성, 호르몬 변화 등이 신경전달물질 대사에 영향을 미쳐 구강 작열감으로 이어지는 기전입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이 의심되면 병원에 내원해 반드시 혈당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습니다.
당뇨병으로 인한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증상 완화를 위한 혈당 조절이 필수입니다. 이외에 지속적인 수분 섭취, 구강건조증 동반 시 침분비를 유도하는 껌이나 신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병원에서는 인공 타액, 알파리포산 보조제, 국소 리도카인 또는 캡사이신 도포, 클로나제팜 등이 처방됩니다.
당뇨병으로 인한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증상 완화를 위한 혈당 조절이 필수입니다. 이외에 지속적인 수분 섭취, 구강건조증 동반 시 침분비를 유도하는 껌이나 신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병원에서는 인공 타액, 알파리포산 보조제, 국소 리도카인 또는 캡사이신 도포, 클로나제팜 등이 처방됩니다.
✔ 당뇨병 궁금증, 한 곳에서 해결하세요.
포털에서 '밀당365'를 검색하시면, 당뇨 뉴스레터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포털에서 '밀당365'를 검색하시면, 당뇨 뉴스레터 무료로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