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일부 인공감미료가 인지기능을 저하시켜 장기적인 뇌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일부 인공감미료가 인지기능을 저하시켜 장기적인 뇌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브라질 상파울루대 연구팀이 평균 연령 52세 1만2772명을 약 8년간 추적 관찰해 인공감미료 섭취가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참여자들은 설문조사를 통해 평소 인공감미료가 포함된 식품과 음료를 얼마나 섭취했는지 응답했다. 분석에는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K,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타가토스가 포함됐으며 이는 탄산음료, 에너지 드링크, 요구르트 등에 다방면으로 쓰인다.

연구팀은 참여자들의 인공감미료 섭취량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했고 가장 많이 섭취한 그룹은 하루 평균 191mg(인공감미료 탄산음료 한 캔에 들어가는 양)을, 가장 적은 그룹은 20mg을 섭취했다. 참여자들은 연구 시작, 중간, 끝에 인지 테스트를 받았고 연구팀은 결과를 토대로 참여자들의 언어 유창성, 작업 기억, 단어 회상 및 처리 속도 등 인지기능을 평가했다.

분석 결과, 인공감미료 섭취량이 가장 많은 사람이 가장 적은 사람보다 전반적인 사고력·기억력이 빠르게 감소했으며 인지기능 저하 속도가 62% 빨랐다. 이는 뇌 노화가 약 1.6년 빠른 셈이다. 인공감미료 섭취량이 중간 그룹에 속한 사람은 섭취량이 적은 사람보다 인지기능 저하 속도가 35% 빨랐으며 뇌 노화 속도가 약 1.3년 빨랐다. 60세 미만이거나 당뇨병이 있는 경우 인공감미료 섭취에 따른 언어 유창성과 전반적인 인지기능 감소가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인공감미료 종류별 인지기능 저하 위험도 분석했다. 그 결과,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K,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소르비톨이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타가토스는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이 없었다.

연구를 주도한 클라우디아 키미에 수에모토 박사는 “인공감미료는 대다수의 사람들 특히 당뇨병 환자들에게 설탕의 건강한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인공감미료의 인지기능 저하 위험을 밝혀낸 만큼 더 나은 설탕 대안을 파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단, 이번 연구 결과는 모든 인공감미료를 포함하지 않았다는 점과 인공감미료 섭취와 인지기능 간 상관관계를 밝혀내지 못한 단순 관찰 연구라는 한계가 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신경학(Neurology)’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