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치를 꼬박꼬박 해도 치아가 누렇게 보여 고민하는 사람이 많다. 치아 색이 변하는 다양한 원인과 해결법을 알아보자.
◇유전·생활습관·항생제 영향
치아가 변색됐을 때 가장 먼저 고려할 수 있는 건 유전적 요인이다. 치아는 바깥쪽의 하얀 법랑질과 안쪽의 노란빛 상아질로 이뤄져 있는데, 두께 비율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상아질이 두껍다면 어릴 때부터 이가 누렇게 보일 수 있고, 반대로 나이가 들면서 법랑질이 점차 닳아 ‘노인성 변색 치아’가 되기도 한다.
생활습관도 큰 영향을 준다. 알프스치과 박경아 원장은 "커피·녹차·레드와인·카레 같은 색소가 강한 음식은 대표적인 원인"이라며 "흡연 역시 니코틴이 치아 표면에 달라붙어 변색을 일으킨다"고 말했다. 특정 항생제(테트라사이클린 계열)를 오랜 기간 복용했을 때도 치아에 갈색이나 검은 줄이 생길 수 있다. 이로 인해 변색된 치아는 치과 치료로도 완전히 회복하기는 어렵다.
◇색소 음식 섭취 줄이고 바로 헹궈야
예방을 위해서는 색소가 강한 음식과 음료를 줄이는 것이 가장 좋다. 커피를 즐긴다면 우유가 들어간 라떼를 선택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우유 속 단백질 ‘카제인’이 변색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단, 설탕이나 시럽, 생크림 등을 함께 넣으면 충치 위험이 높아 주의해야 한다. 박경아 원장은 "색소 음식 섭취 후에는 곧바로 양치를 하는 게 좋고, 불가능하다면 물로 입을 헹구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또한, 사과·당근·샐러리 같은 단단한 채소나 과일은 섬유질이 많아 치아 표면에 붙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고, 침 분비를 늘려 변색 예방에 효과적이다.
◇미백 치료, 효과 있지만 개인차도
◇유전·생활습관·항생제 영향
치아가 변색됐을 때 가장 먼저 고려할 수 있는 건 유전적 요인이다. 치아는 바깥쪽의 하얀 법랑질과 안쪽의 노란빛 상아질로 이뤄져 있는데, 두께 비율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상아질이 두껍다면 어릴 때부터 이가 누렇게 보일 수 있고, 반대로 나이가 들면서 법랑질이 점차 닳아 ‘노인성 변색 치아’가 되기도 한다.
생활습관도 큰 영향을 준다. 알프스치과 박경아 원장은 "커피·녹차·레드와인·카레 같은 색소가 강한 음식은 대표적인 원인"이라며 "흡연 역시 니코틴이 치아 표면에 달라붙어 변색을 일으킨다"고 말했다. 특정 항생제(테트라사이클린 계열)를 오랜 기간 복용했을 때도 치아에 갈색이나 검은 줄이 생길 수 있다. 이로 인해 변색된 치아는 치과 치료로도 완전히 회복하기는 어렵다.
◇색소 음식 섭취 줄이고 바로 헹궈야
예방을 위해서는 색소가 강한 음식과 음료를 줄이는 것이 가장 좋다. 커피를 즐긴다면 우유가 들어간 라떼를 선택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우유 속 단백질 ‘카제인’이 변색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단, 설탕이나 시럽, 생크림 등을 함께 넣으면 충치 위험이 높아 주의해야 한다. 박경아 원장은 "색소 음식 섭취 후에는 곧바로 양치를 하는 게 좋고, 불가능하다면 물로 입을 헹구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또한, 사과·당근·샐러리 같은 단단한 채소나 과일은 섬유질이 많아 치아 표면에 붙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고, 침 분비를 늘려 변색 예방에 효과적이다.
◇미백 치료, 효과 있지만 개인차도
치아를 하얗게 하는 치아미백 시술을 받는 경우도 많다. 치아미백은 변색 원인과 상태에 따라 ▲집에서 맞춤 트레이를 착용하는 '자가 미백' ▲치과에서 고농도 약제·광선 치료하는 '전문가 미백' ▲신경치료 후 변색된 치아 대상으로 하는 '실활치 미백' 등으로 나뉜다.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은 홈케어 방법인 자가 미백술이다.
경희대치과병원 보존과 장지현 교수는 헬스조선과의 인터뷰에서 "미백제는 치아 표면의 착색 물질만 분해하기 때문에 치아 조직 자체를 해치지 않는다"며 "치료 중 약 30%에서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 며칠 내 호전된다"고 말했다. 다만, 크라운·레진·임플란트 같은 보철물은 미백 효과가 없고, 항생제 부작용으로 생긴 변색이나 치아 흠집은 치료 후 더 눈에 띌 수 있어 사전 상담이 필요하다.
효과는 보통 치료 후 1개월 이내에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시 변색될 수 있다. 색소가 강한 음식을 피하고 미백 치약을 사용하면 하얀 치아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보통 6개월~1년 간격으로 치과에서 리터치하면 초기보다 짧은 기간에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중 미백 치약이나 홈케어 기기도 사용할 수 있지만, 성분 농도가 치과용보다 낮다. 치아에 보철물이 없고 건강하다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시린 증상이나 잇몸 자극이 생기면 사용을 중단하고 치과 상담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
경희대치과병원 보존과 장지현 교수는 헬스조선과의 인터뷰에서 "미백제는 치아 표면의 착색 물질만 분해하기 때문에 치아 조직 자체를 해치지 않는다"며 "치료 중 약 30%에서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 며칠 내 호전된다"고 말했다. 다만, 크라운·레진·임플란트 같은 보철물은 미백 효과가 없고, 항생제 부작용으로 생긴 변색이나 치아 흠집은 치료 후 더 눈에 띌 수 있어 사전 상담이 필요하다.
효과는 보통 치료 후 1개월 이내에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시 변색될 수 있다. 색소가 강한 음식을 피하고 미백 치약을 사용하면 하얀 치아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보통 6개월~1년 간격으로 치과에서 리터치하면 초기보다 짧은 기간에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중 미백 치약이나 홈케어 기기도 사용할 수 있지만, 성분 농도가 치과용보다 낮다. 치아에 보철물이 없고 건강하다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시린 증상이나 잇몸 자극이 생기면 사용을 중단하고 치과 상담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