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도수치료./사진=클립아트코리아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의료기관별 2025년 비급여 가격을 심평원 누리집과 모바일 앱 ‘건강e음’을 통해 공개한다고 3일 밝혔다.

비급여 가격(진료비용) 공개제도는 의료기관마다 차이가 있는 비급여 진료 항목의 가격 정보를 공개해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합리적 의료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다. 올해는 전체 의료기관의 693개 비급여 항목의 가격을 공개한다.

2025년 비급여 가격 조사·분석 결과, 지난해와 올해 모두 공통 항목(571개) 중 64.3%(367개)의 평균 가격이 인상되었고, 48.7%(278개)의 기관 간 가격 편차가 증가했다.

국민적 관심이 높은 도수치료의 평균 가격은 전년대비 1.3%, 폐렴구균 예방 접종비는 2.1% 인상됐다. 국민들이 많이 찾는 주요 비급여 항목 중 임플란트, 약 침술의 가격 편차가 증가했다. 부산 A의원의 임플란트 하나 당 중간금액은 120만원이었던 반면, 서울 B의원은 250만원이었다.


올해 신규 공개하는 비급여 항목 중 백내장 등 안과질환 진단에 실시하는 ‘샤임프러그’ 사진 촬영 검사가 의료기관별 가격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의 한 의원은 중간금액이 10만원이었고 서울의 한 의원은 최대금액이 200만원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는 합리적인 비급여 선택을 위해 심평원 홈페이지를 통해 의료기관 간 비급여 가격을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비급여 가격(진료비용)을 손쉽게 비교하고 합리적으로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빈도 비급여 항목의 빠른 조회, 지역별·규모별 비교 금액 화면 신설 ▲진료내용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와 급여기준 정보 확대 ▲질병관리청의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연계 등 비급여 가격(진료비용) 공개화면을 개편했다.

복지부 권병기 필수의료지원관은 “앞으로도 소비자·의료계 등 여러 분야의 의견 청취를 통해 국민의 비급여 진료 선택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비급여 가격공개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