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복잡한 관상동맥 스텐트시술을 받은 고위험 환자에게 기존 치료법과 맞춤 치료법간 유의미한 효과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서울아산병원 제공
복잡한 관상동맥 스텐트시술을 받은 고위험 환자에게 기존 치료법과 맞춤 치료법간 유의미한 효과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경우 스텐트를 삽입해 좁아진 혈관을 넓히는 관상동맥 스텐트시술이 많이 시행된다. 이때 스텐트를 삽입한 부위에 혈전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항혈소판제를 복용해야 한다.

혈관이 좁아진 부위가 해부학적으로 복잡해 치료가 어렵거나 환자가 당뇨병과 같은 동반질환을 앓고 있는 고위험군의 경우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시술 직후 고강도로 약물을 복용하는 맞춤 치료법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하지만 고위험 환자에게 기존 치료법과 맞춤 치료법 중 어느 치료가 더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었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덕우·박승정·강도윤 교수, 위성봉 전문의는 복잡한 관상동맥 스텐트시술을 받은 고위험 환자 2018명을 대상으로 기존 치료군과 맞춤 치료군으로 나눠 1년간의 치료 효과를 분석했다. 맞춤 치료군은 6개월간 티카그렐러와 아스피린을 병용했으며 이후 6개월간 클레피도그렐만으로 치료했다. 기존 치료군의 경우 12개월간 클레피도그렐과 아스피린을 병용했다.​


분석 결과, 사망·뇌졸중·심근경색·응급재시술·출혈 등 주요 임상사건 발생률이 맞춤치료군에서는 10.5%, 기존치료군에서는 8.8%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사망·뇌졸중·스텐트혈전증 등 주요 허혈사건 발생률은 맞춤치료군 3.9%, 기존치료군 5.0%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출혈의 경우 맞춤치료군 7.2%, 기존치료군 4.8%로 맞춤치료군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덕우 교수는 “복잡한 관상동맥 스텐트시술을 받은 고위험 환자에서 최적의 약물치료법을 두고 세계적으로 논의가 지속되어왔는데 이번 대규모 연구를 통해 맞춤 치료법이 기존 치료법에 비해 임상적 이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밝혀냈다”며 “아직까지 고위험 스텐트시술을 받는 환자에서 최적의 혈전 치료에 대한 근거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만큼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관상동맥질환 환자들에게 최적의 약물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에 게재됐으며 최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심장 분야 최고 권위 학회인 ‘유럽심장학회 연례학술대회(ESC Congress 2025)’의 메인 세션 ‘핫라인’에서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