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락스에 뜨거운 물을 섞거나 뿌리면 화학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위험하다./클립아트코리아
청소에 자주 쓰이는 락스는 강력한 살균력을 자랑하지만, 사용법을 잘못 지키면 치명적인 건강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락스의 주성분인 염소는 휘발성이 강해 공기 중에서 쉽게 염소가스로 변한다. 이 가스를 흡입하면 코점막 손상이나 급성 호흡기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장기간 또는 고농도에 노출되면 후각 상실, 만성 기관지염, 눈과 점막 자극 등 심각한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문제는 염소가스가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냄새로 알아챘을 때에는 이미 호흡기를 통해 흡입했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욕실이나 샤워부스처럼 환기가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서는 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해 중독 위험이 커진다.


락스는 원액 그대로 사용하지 말고, 찬물에 희석해 사용해야 한다. 뜨거운 물은 화학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피해야 한다. 청소 후에는 락스 성분이 남지 않도록 바닥을 충분히 헹구고, 이 과정에서도 환기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

서남병원 가정의학과 전문의 김형욱 과장은 “락스를 사용할 때는 고무장갑·마스크·긴소매 옷을 착용하고, 작업공간을 충분히 환기해야 한다”며 “피부나 눈에 묻지 않도록 주의하고, 직사광선이나 열기에 노출되지 않게 보관하며 어린이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청소 도중 눈이나 피부가 따갑거나 호흡이 불편해진다면 즉시 청소를 멈추고 바깥 공기를 마시며 휴식을 취해야 한다. 김형욱 과장은 “만약 호흡곤란·어지럼증·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심하면 지체 없이 의료기관을 찾아 염소가스 중독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