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은평성모병원
은평성모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안세하·문영규 교수팀이 폐암 수술에서 단일공 흉강경을 이용한 ‘복잡 구역절제술’의 안전성과 종양학적 효과를 입증했다.

연구팀은 ‘단일공 흉강경 수술을 이용한 단순 구역절제술과 복잡 구역절제술 비교 연구: 중기 수술 성적 및 초기 종양학적 결과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통해, 복잡 구역절제술이 단순 구역절제술과 비교해도 안전성과 초기 종양학적 성적에서 차이가 없음을 확인했다.

구역절제술은 폐엽의 작은 단위인 폐 구역만을 절제하는 수술로, 종양 위치와 구조적 특성에 따라 복잡·기저·단순 구역절제술로 나뉜다. 복잡 구역절제술과 기저 구역절제술은 혈관과 기관지가 얽힌 부위를 정밀하게 절제해야 하는 고난도 수술로 평가되지만, 정상 폐 조직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단순 구역절제술은 종양이 폐의 표면 가까이에 있고 구조가 단순할 때 시행되며, 난이도가 비교적 낮고 합병증 위험이 적다.

연구팀은 2019년 5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은평성모병원에서 단일공 흉강경으로 폐암 수술을 받은 환자 1157명 중 구역절제술을 시행한 513명을 분석했다. 이 가운데 복잡 구역절제술 355명, 기저 구역절제술 23명, 단순 구역절제술 135명을 대상으로 수술 결과와 최소 2년간의 재발 여부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복잡 구역절제술은 수술 시간, 출혈량, 흉관 유지 기간 등 주요 수술 지표에서 단순 구역절제술과 유사한 성적을 보였으며, 오히려 평균 재원일수는 더 짧았다(6.0일 vs 6.8일). 합병증 발생률 역시 두 군 간 큰 차이가 없었고, 특히 복잡 구역절제술에서는 수술 후 출혈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다.

조기 종양학적 성적도 좋았다. 최소 2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182명 중 재발은 단 두 건(복잡 구역절제술 1례, 기저구역절제술 1례)에 불과했으며, 이는 일반적인 구역절제술 후 보고되는 재발률과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치였다.

안세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복잡 구역절제술이 폐 기능을 보존하면서도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법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숙련된 의료진이 집도할 경우 환자들이 보다 빠르게 회복해 일상으로 복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흉부 질환 학술지(Journal of Thoracic Disease)’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