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산균 제품을 고를 때 제품에 표기된 ‘보장균수 100억’, ‘500억 보장’, ‘고함량 유산균’ 등과 같은 문구를 보고, 그 수치만큼의 유산균이 장까지 도달한다고 믿는 소비자들이 많다. 그러나 ‘보장균수’란 제품을 섭취하기 전까지 살아 있는 유산균 수를 의미할 뿐, 소화기관을 통과해 실제 장에 도달하는 유산균 수와는 다른 개념이다.
보장균수는 제조사가 소비기한까지 살아 있는 유산균의 최소 수량을 보장하는 수치다. 예를 들어 ‘100억 보장’이라는 문구는 지정된 조건에서 제품을 보관하면 섭취 시점까지 100억마리 이상 살아 있는 유산균이 들어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많은 유산균 중 장 속까지 살아 도달하는 유산균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일반적인 유산균은 인체로 들어온 뒤 강력한 위산(pH 2), 담즙산 등 소화액에 노출되며 대부분 사멸하기 때문이다. 위산은 외부 병원균을 제거하는 인체의 주요 방어기전으로, 유익균과 유해균을 가리지 않고 모두 사멸시킨다.
결국 유산균의 효과는 보장균수 자체가 아닌, ‘코팅 기술’에 따라 좌우된다. 저렴한 균주를 대량 사용해 보장균수만 부풀린 제품보다는 유산균 코팅 기술을 적용해 사멸되는 양을 줄인 제품이 섭취 효과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실제 최근 유산균 제품 개발·판매사들 또한 코팅 기술에 열을 올리는 추세다.
업계 관계자는 “보장균수는 소비기한까지, 즉 입에 들어가기 전까지 제품에 살아 있는 균의 수를 의미할 뿐 장 속 생존 여부와는 무관하다”며 “유산균의 장 속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선 어떤 코팅기술을 사용하느냐가 핵심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순한 숫자보다는 어떤 보호 기술을 적용했고, 그 효과가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입증됐는지, 소비 환경에 맞는 보관 안정성을 갖췄는지 살펴야 한다”고 했다.
보장균수는 제조사가 소비기한까지 살아 있는 유산균의 최소 수량을 보장하는 수치다. 예를 들어 ‘100억 보장’이라는 문구는 지정된 조건에서 제품을 보관하면 섭취 시점까지 100억마리 이상 살아 있는 유산균이 들어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많은 유산균 중 장 속까지 살아 도달하는 유산균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일반적인 유산균은 인체로 들어온 뒤 강력한 위산(pH 2), 담즙산 등 소화액에 노출되며 대부분 사멸하기 때문이다. 위산은 외부 병원균을 제거하는 인체의 주요 방어기전으로, 유익균과 유해균을 가리지 않고 모두 사멸시킨다.
결국 유산균의 효과는 보장균수 자체가 아닌, ‘코팅 기술’에 따라 좌우된다. 저렴한 균주를 대량 사용해 보장균수만 부풀린 제품보다는 유산균 코팅 기술을 적용해 사멸되는 양을 줄인 제품이 섭취 효과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실제 최근 유산균 제품 개발·판매사들 또한 코팅 기술에 열을 올리는 추세다.
업계 관계자는 “보장균수는 소비기한까지, 즉 입에 들어가기 전까지 제품에 살아 있는 균의 수를 의미할 뿐 장 속 생존 여부와는 무관하다”며 “유산균의 장 속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선 어떤 코팅기술을 사용하느냐가 핵심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순한 숫자보다는 어떤 보호 기술을 적용했고, 그 효과가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입증됐는지, 소비 환경에 맞는 보관 안정성을 갖췄는지 살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