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약품은 오는 9월 15~19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에 참가해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 ‘HM15275’와 신개념 비만치료제 ‘HM17321’, 경구용 비만치료제 ‘HM101460’ 등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고 25일 밝혔다.
주요 발표 내용은 ▲HM15275의 항비만 효과에 대한 기전적 통찰 ▲HM17321의 근육 성장·대사 개선 효과를 뒷받침하는 골격근 단백체 분석 ▲HM17321의 비만 영장류 모델에서 체중 감량 효능·설치류 모델에서 인크레틴 병용 효능 ▲HM17321의 체성분 개선, 에너지 소모·대사 건강 증진 효과 입증 ▲혈액단백체 기반 HM17321의 근육·골격 건강에 대한 잠재적 효과 ▲HM101460의 경구용 GLP-1 작용제 가능성 입증 등이다.
특히 한미약품은 이번 EASD 2025에서 비만 영장류 모델을 통한 HM17321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입증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HM17321이 근육에 직접 작용해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구체적인 작용 기전을 발표한 적 없었으나, 이번 학회에서 세계 최초로 마우스 근육 단백체 연구를 통해 HM17321의 근육 증가 기전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하고, 대사 적응을 통한 혈당 조절 효과를 입증한 결과를 발표한다.
한미약품 R&D센터장 최인영 전무는 “한미의 비만치료제 포트폴리오는 단순한 체중 감량을 넘어 질적 개선, 근육 보존, 치료 지속성, 복약 편의성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와 의료진이 직면한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방위적 혁신’이라는 점에서 분명한 차별성을 지닌다”며 “이러한 종합적 전략은 향후 근감소증·고령층 비만, 운동 기능 저하 환자군 등 미충족 수요를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요 발표 내용은 ▲HM15275의 항비만 효과에 대한 기전적 통찰 ▲HM17321의 근육 성장·대사 개선 효과를 뒷받침하는 골격근 단백체 분석 ▲HM17321의 비만 영장류 모델에서 체중 감량 효능·설치류 모델에서 인크레틴 병용 효능 ▲HM17321의 체성분 개선, 에너지 소모·대사 건강 증진 효과 입증 ▲혈액단백체 기반 HM17321의 근육·골격 건강에 대한 잠재적 효과 ▲HM101460의 경구용 GLP-1 작용제 가능성 입증 등이다.
특히 한미약품은 이번 EASD 2025에서 비만 영장류 모델을 통한 HM17321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입증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HM17321이 근육에 직접 작용해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구체적인 작용 기전을 발표한 적 없었으나, 이번 학회에서 세계 최초로 마우스 근육 단백체 연구를 통해 HM17321의 근육 증가 기전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하고, 대사 적응을 통한 혈당 조절 효과를 입증한 결과를 발표한다.
한미약품 R&D센터장 최인영 전무는 “한미의 비만치료제 포트폴리오는 단순한 체중 감량을 넘어 질적 개선, 근육 보존, 치료 지속성, 복약 편의성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와 의료진이 직면한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방위적 혁신’이라는 점에서 분명한 차별성을 지닌다”며 “이러한 종합적 전략은 향후 근감소증·고령층 비만, 운동 기능 저하 환자군 등 미충족 수요를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