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지며 시야가 흐려지는 대표적인 노인성 안질환이다. 하지만 모든 백내장이 동일하게 진행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녹내장, 각막질환, 망막질환 등 다른 안질환이 동반됐거나 과거 안과 수술 이력이 있는 경우, 외상·선천적 원인으로 발생한 경우를 ‘고난이도 백내장’으로 분류한다. 이 경우 수술 과정이 복잡해지고 시력 회복 예측이 어려워, 고도의 경험과 정밀 장비를 갖춘 의료진의 판단이 필수다.
고난이도 백내장은 원인과 형태에 따라 양상이 다양하다. 예를 들어, 녹내장 환자는 시야 결손이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백내장이 겹치면 시력 저하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당뇨망막병증 환자는 망막 손상이 동반돼 수술 후 시력 회복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과거 유리체 절제술, 각막이식, 굴절교정수술 등을 받은 환자는 안구 구조 변화로 인해 수정체낭이 약해져 인공수정체 삽입 과정에서 난이도가 크게 높아진다. 이러한 특수 상황에서는 일반적인 백내장 수술 방법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고난이도 백내장 수술은 수술 전 정밀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 안저검사뿐 아니라 광간섭단층촬영(OCT), 각막내피세포검사, 안구 길이 측정,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안구 구조와 시신경, 망막 상태를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인공수정체 종류와 도수를 결정하며, 필요 시 난시 교정렌즈, 특수 다초점렌즈 등 맞춤형 렌즈를 선택한다. 수술 과정에서는 미세 절개와 전방 유지장치, 수정체낭 고정기구 등 특수 기구를 활용해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환자들이 흔히 '백내장은 간단한 수술'이라 생각하지만, 고난이도 백내장은 그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공수정체가 제 위치에 고정되지 않거나, 수정체낭이 파열되는 경우, 망막박리·안압 상승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수술 전 충분한 상담과 사전 준비, 그리고 응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숙련된 의료진의 역량이 필수다.
고난이도 백내장은 위험 부담이 크지만, 전문적인 진단과 맞춤형 수술 계획이 뒷받침된다면 시력 회복과 삶의 질 개선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무엇보다 조기 발견과 예방이 중요하다. 시야가 흐려지거나 이중으로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단순한 노화로 치부하지 말고 즉시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시력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이다.
(*이 칼럼은 영등포 원안과 이동원 대표원장의 기고입니다.)
고난이도 백내장은 원인과 형태에 따라 양상이 다양하다. 예를 들어, 녹내장 환자는 시야 결손이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백내장이 겹치면 시력 저하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당뇨망막병증 환자는 망막 손상이 동반돼 수술 후 시력 회복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과거 유리체 절제술, 각막이식, 굴절교정수술 등을 받은 환자는 안구 구조 변화로 인해 수정체낭이 약해져 인공수정체 삽입 과정에서 난이도가 크게 높아진다. 이러한 특수 상황에서는 일반적인 백내장 수술 방법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고난이도 백내장 수술은 수술 전 정밀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 안저검사뿐 아니라 광간섭단층촬영(OCT), 각막내피세포검사, 안구 길이 측정,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안구 구조와 시신경, 망막 상태를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인공수정체 종류와 도수를 결정하며, 필요 시 난시 교정렌즈, 특수 다초점렌즈 등 맞춤형 렌즈를 선택한다. 수술 과정에서는 미세 절개와 전방 유지장치, 수정체낭 고정기구 등 특수 기구를 활용해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환자들이 흔히 '백내장은 간단한 수술'이라 생각하지만, 고난이도 백내장은 그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공수정체가 제 위치에 고정되지 않거나, 수정체낭이 파열되는 경우, 망막박리·안압 상승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수술 전 충분한 상담과 사전 준비, 그리고 응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숙련된 의료진의 역량이 필수다.
고난이도 백내장은 위험 부담이 크지만, 전문적인 진단과 맞춤형 수술 계획이 뒷받침된다면 시력 회복과 삶의 질 개선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무엇보다 조기 발견과 예방이 중요하다. 시야가 흐려지거나 이중으로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단순한 노화로 치부하지 말고 즉시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시력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이다.
(*이 칼럼은 영등포 원안과 이동원 대표원장의 기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