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왼)분당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김영준 교수 (오)이준우 교수/사진=분당서울대병원 제공
분당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김영준·이준우 교수 연구팀은 다리 통증을 호소하는 당뇨병 환자도 비당뇨인과 마찬가지로 척추 주사 시술을 통해 통증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에 이상이 생기거나 분비된 인슐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이다.

당뇨병 환자는 하지(다리) 통증을 겪기도 하는데 치료가 까다롭다.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과 허리디스크·척추관협착증 등 척추질환 모두 다리 통증을 유발하므로 당뇨병 환자가 다리 통증을 겪으면 이들 중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가려내기 어려워서다.

이에 당뇨병 환자는 척추 질환이 유발한 다리 통증에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척추 주사’ 시술을 받는 데 신중할 필요가 있다. 경막 외 스테로이드 주사로도 알려진 이 시술은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이 있다면 치료 효과가 떨어지고, 시술에 주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가 환자의 혈당을 일시적으로 높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이 있는 당뇨병 환자는 척추 주사 시술에 신중해야 한다는 사실이, 당뇨병 환자라면 모두 척추 주사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오해로 번져 문제다. 막연한 우려감에 치료를 주저하고 척추 질환을 키우는 당뇨병 환자들이 늘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척추 주사 시술이 실제로 당뇨병 환자에서 효과가 크게 떨어지는지, 감소한다면 어떠한 조건에서인지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는 분당서울대병원에서 하지 통증으로 척추 주사를 맞은 218명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 환자와 비당뇨 환자의 통증 감소 정도 및 부작용 발생률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기존의 인식과 달리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 간 척추 주사 치료 후 다리 통증 감소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부작용 발생률 또한 유사한 수준이었다. 척추 질환이 있는 당뇨병 환자의 다리 통증에도 척추 주사가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척추 병변이 명확히 존재해도 척추 주사 시술의 효과가 떨어지는 일부 경우는 다리에 만성 통증(6개월 이상)이 있거나 통증 강도가 경미한 환자였다. 이 경우 척추 병변보다는 당뇨병성 신경병증으로 인한 통증일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 설명이다.

김영준 교수는 “연구 결과에 따라 당뇨병 환자도 통증 양상을 면밀히 관찰한다면 척추주사 시술을 중요한 치료 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준우 교수는 “통증 기간이나 강도 등을 고려해 당뇨병 합병증과 척추 질환 중 무엇이 원인인지 정확히 판단한 후에 주사치료 여부를 결정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골격 영상의학(Skeletal Radi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