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픈 사람을 보는 것만으로도 뇌의 경보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로잔대 신경과학과 안드레아 세리노 교수팀은 가상현실 헤드셋을 이용해 뇌가 질병 증상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실험했다. 248명의 참가자는 가상현실 헤드셋을 착용한 후, 건강한 사람과 피부 발진 등 질병의 명확한 징후를 보이는 사람을 나눠 영상을 시청했다.
그 결과 피부발진, 기침 등 질병 징후를 보이는 사람을 보는 순간 참가자들의 뇌가 작동하기 시작했고, 면역 체계는 최고 경계 상태에 들어갔다. 반면 보통의 사람과 건강한 사람을 봤을 때는 뇌가 활성화되지 않았으며, 혈액 검사에서도 면역 지표가 즉각적으로 상승하지 않았다.
스위스 로잔대 신경과학과 안드레아 세리노 교수팀은 가상현실 헤드셋을 이용해 뇌가 질병 증상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실험했다. 248명의 참가자는 가상현실 헤드셋을 착용한 후, 건강한 사람과 피부 발진 등 질병의 명확한 징후를 보이는 사람을 나눠 영상을 시청했다.
그 결과 피부발진, 기침 등 질병 징후를 보이는 사람을 보는 순간 참가자들의 뇌가 작동하기 시작했고, 면역 체계는 최고 경계 상태에 들어갔다. 반면 보통의 사람과 건강한 사람을 봤을 때는 뇌가 활성화되지 않았으며, 혈액 검사에서도 면역 지표가 즉각적으로 상승하지 않았다.
면역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이용한 측정 기준 중 하나는 선천 림프구 세포(ILC)였다. ILC는 신체가 병원체에 직접 노출될 때 혈액에서 급증하는데, 연구 결과 감염 위험이 있는 사람을 본 것만으로도 ILC가 증가했다.
연구팀은 "아픈 사람을 보고 뇌에서 활성화된 영역 중 일부는 독감 백신 접종 후 활성화되는 영역과 같았다"며 "가상현실이 백신의 효능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해당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7월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아픈 사람을 보고 뇌에서 활성화된 영역 중 일부는 독감 백신 접종 후 활성화되는 영역과 같았다"며 "가상현실이 백신의 효능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해당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7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