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아파트 35층에서 추락한 중국의 한 20대 여성이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사연이 공개돼 화제다.
지난 1일(현지시각) 중국 매체 후난일보 등에 따르면, 27세 여성이 자신이 거주 중이던 아파트 35층에서 떨어졌다. 응급실에 실려 간 여성은 뇌내 출혈, 뇌 좌열상(뇌 조직에 찢어진 상처가 생긴 상태), 쇄골 골절, 다발성 골절, 장 천공(구멍) 등 치명적인 외상을 입은 위중한 상태였다. 응급실에 실려간 여성은 곧바로 다수의 전문의가 투입돼 대규모 수술을 받았다.
지난 1일(현지시각) 중국 매체 후난일보 등에 따르면, 27세 여성이 자신이 거주 중이던 아파트 35층에서 떨어졌다. 응급실에 실려 간 여성은 뇌내 출혈, 뇌 좌열상(뇌 조직에 찢어진 상처가 생긴 상태), 쇄골 골절, 다발성 골절, 장 천공(구멍) 등 치명적인 외상을 입은 위중한 상태였다. 응급실에 실려간 여성은 곧바로 다수의 전문의가 투입돼 대규모 수술을 받았다.
이후 50일 넘게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은 여성은 열 차례 이상의 추가 수술을 받은 후 현재 의식을 회복했다. 의료진은 “35층에서 추락해 살아남은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환자의 젊은 체력, 신속한 구조, 나무에 부딪혀 충격이 완화된 점이 생존에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한편, 여성이 정확히 왜 추락했는지 밝혀지진 않았지만 당시 여성이 남자친구와 함께 거주 중이었으며 사고 전 다툼 소리가 있었다는 게 이웃의 증언이다. 현재 경찰은 정확한 추락 원인에 대해 조사 중이다.
이 사건과 관련해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응급의료센터 이창재 전문의는 “일반적으로 35층 추락 후 생존은 거의 불가능하다”며 “여성의 생존은 체력, 골든타임 내 응급처치, 충격 완화 환경이라는 세 가지 조건이 연쇄적으로 맞아떨어진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20대는 뼈와 근육, 혈관, 장기 기능이 상대적으로 튼튼해 외상 후 회복 능력이 높다. 충격 후 쇼크 상태나 대량 출혈이 발생했을 때, 심장이 버텨줄 힘이 크고 저산소 상태를 견디는 시간도 길다. 이창재 전문의는 “골밀도와 근육량도 많아 골절을 어느 정도 늦추거나 골절시 뼈가 부서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며 “버틸 수 있는 시간을 늘려주는 체력적 기반이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신속한 구조 역시 외상 골든타임 확보와 혈액 손실, 2차 손상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 추락 중 나무나 관목 숲 등 장애물에 부딪혔다면 충격 완화로 완충역할이 가능해 충격이 분산되면서 치명적인 장기 손상 위험이 줄어들 수 있었다.
한편, 추락 사고를 목격했을 때는 주변인의 빠른 대처가 중요하다. 이창재 전문의는 “구조자 본인이나 다른 사람이 2차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낙하물이나 불안정 구조물 등 주변 위험 요소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며 “이후 의식과 호흡, 맥박을 확인한다”고 말했다. 119에 신고한 후, 숨이나 맥박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이 전문의는 “척추나 골반, 머리 손상이 있을 수 있어 의료진이 올 때까지 자세를 바꾸지 않는 게 좋다”고 말했다.
한편, 여성이 정확히 왜 추락했는지 밝혀지진 않았지만 당시 여성이 남자친구와 함께 거주 중이었으며 사고 전 다툼 소리가 있었다는 게 이웃의 증언이다. 현재 경찰은 정확한 추락 원인에 대해 조사 중이다.
이 사건과 관련해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응급의료센터 이창재 전문의는 “일반적으로 35층 추락 후 생존은 거의 불가능하다”며 “여성의 생존은 체력, 골든타임 내 응급처치, 충격 완화 환경이라는 세 가지 조건이 연쇄적으로 맞아떨어진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20대는 뼈와 근육, 혈관, 장기 기능이 상대적으로 튼튼해 외상 후 회복 능력이 높다. 충격 후 쇼크 상태나 대량 출혈이 발생했을 때, 심장이 버텨줄 힘이 크고 저산소 상태를 견디는 시간도 길다. 이창재 전문의는 “골밀도와 근육량도 많아 골절을 어느 정도 늦추거나 골절시 뼈가 부서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며 “버틸 수 있는 시간을 늘려주는 체력적 기반이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신속한 구조 역시 외상 골든타임 확보와 혈액 손실, 2차 손상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 추락 중 나무나 관목 숲 등 장애물에 부딪혔다면 충격 완화로 완충역할이 가능해 충격이 분산되면서 치명적인 장기 손상 위험이 줄어들 수 있었다.
한편, 추락 사고를 목격했을 때는 주변인의 빠른 대처가 중요하다. 이창재 전문의는 “구조자 본인이나 다른 사람이 2차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낙하물이나 불안정 구조물 등 주변 위험 요소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며 “이후 의식과 호흡, 맥박을 확인한다”고 말했다. 119에 신고한 후, 숨이나 맥박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이 전문의는 “척추나 골반, 머리 손상이 있을 수 있어 의료진이 올 때까지 자세를 바꾸지 않는 게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