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식탁을 물티슈로 닦는 것보다 행주나 키친타월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바쁜 일상 속, 식사 전후 식탁을 물티슈로 간단히 닦는 집이 많다. 편리하고 깔끔해 보이지만, 대부분의 물티슈는 식탁용이 아니다. 물티슈는 음식이 직접 닿는 식탁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부분의 물티슈에는 세균 번식을 막기 위한 방부제와 향료, 계면활성제 등의 화학 성분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물티슈로 닦은 식탁 표면에 위 성분들이 남아 있다면, 그 위에 놓인 음식과 함께 체내로 들어갈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아이가 있는 가정이라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물티슈에 포함된 ‘벤잘코늄클로라이드’는 살균·소독 기능이 있지만, 장기간 노출 시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이나 점막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은 이 성분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피부나 눈에 비가역적인 손상이 생길 수 있고, 심할 경우 호흡곤란 등 급성 독성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동탄시티병원 가정의학과 천성희 원장은 “물티슈는 손 전용 제품으로, 식탁처럼 음식이 직접 닿는 곳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특히 아이들이 있는 가정이라면 식탁 표면에 남은 화학 성분이 체내로 흡수될 수 있어 더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대리석 식탁은 물티슈 사용에 더욱 취약하다. 대리석은 석회암 계열의 천연석으로 보기엔 단단하고 매끈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수분과 산, 기름에 약한 다공성 자재다. 물티슈나 일반 세정제 속 화학 성분만으로도 표면에 침식, 변색, 윤기 손실이 생길 수 있다.

식탁 청소에는 미온수에 적신 행주나 물에 살짝 적신 키친타월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사용한 행주는 반드시 삶거나 햇볕에 말려 세균 증식을 막아야 한다. 시중에 판매되는 ‘식품용 물티슈’ 역시 성분 확인이 필요하다. 불필요한 향료나 보존제가 없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성희 원장은 “식탁은 하루에도 여러 번 음식이 직접 닿는 공간인 만큼, 사용 제품의 성분까지 꼼꼼히 확인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