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치실을 이용해 백신을 접종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특수 백신이 묻은 치실을 치아 사이 잇몸에 문지르는 것만으로도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텍사스공대 연구진은 치아와 잇몸이 만나는 부위의 '접합상피'라는 조직으로 백신을 전달할 수 있다는 가설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이 부위는 세포층이 얇고 세포간 연결이 느슨하다.

연구팀은 쥐의 치아에 형광 단백질을 바른 치실을 사용했다. 그 결과, 형광 단백질의 75%가 잇몸으로 전달됐다. 치실이 백신을 전달할 가능성이 입증된 것이다.

다음으로 연구팀은 실제 백신에 쓰이는 독감 바이러스를 치실에 묻혀 쥐에게 접종했다. 4주 후 독감 바이러스를 투여하자, 치실질을 한 쥐만 살아남고 다른 쥐들은 모두 죽었다. 치실질을 한 쥐의 타액, 대변 등 체액에서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도 확인됐다.


치실 접종은 기존 백신 주사 대신 사용되고 있던 설하접종(혀 밑)보다 항체 생성력이 우수했고, 비강 스프레이와 비슷한 면역 반응을 보였다. 치실 백신은 단백질, 펩타이드, 비활성 바이러스 등 다양한 면역 항원을 전달할 수 있다. 나이와 체액 상태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보호 효과가 있다는 점에 효과적이다.

실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도 진행했다. 참가자 27명에게 식용 색소를 바른 치실을 사용하도록 했다. 그 결과 색소의 약 60%가 잇몸으로 전달됐다. 이는 백신 치실이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내표하는 결과다. 연구진은 "주사 바늘로 인한 통증이나 감염 위험 등 여러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