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규모 식중독 유발을 예방하기 위해 냉장·냉동 보관 빵류에 스마트 패썹과 지능형온도스티커(TTI)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전문가 집단에서 제기됐다.
냉장·냉동 케이크와 빵류는 최근 식중독 유발 위험이 큰 식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5~6월 충북 청주와 진천의 집단급식소에서 케이크, 빵을 섭취해 총 256명이 집단 식중독에 걸렸다. 식약처는 원인 식품인 딸기크림 롤케이크와 초코바나나빵의 판매를 중단하고 회수 조치했다. 지난 2018년에도 전국 55개 학교에서 초코케익을 먹고 2207명의 살모넬라 식중독 환자가 생긴 사례가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300여 건의 식중독으로 5000~60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는데, 핵심 원인 균은 살모넬라다. 최근 6년 동안(2019~2024) 국내에서 살모넬라균이 매년 110~160건, 1930~2840명의 환자를 발생시켰다. 중앙대 하상도 교수는 “살모넬라 같은 세균성 식중독은 아무리 위생관리를 잘해도 완벽한 제어가 어려워 언제든 대규모 사건을 발생시킬 수 있다”며 “미국, EU, 일본 등 안전관리 선진국에서도, 네슬레 등 글로벌 선도기업에서도, 수출 K-푸드에서도 언제든 발생할 수 있어 늘 대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살모넬라 오염을 예방하려면 '보존 온도'와 '시간'을 철저히 관리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냉동식품은 냉동상태로, 냉장식품은 냉장상태로 보관·유통되지 않으면 오염된 세균이 급격히 증식할 수 있어 식중독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최근 냉동 케이크와 생지를 유통하던 배송차량이 점포 도착 후, 냉동‧냉장고에 입고하지 않고 두 시간 이상 상온을 방치하는 사례가 적발되면서, 관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단법인 소비자시민모임 회장인 한국소비자단체연합회 문미란회장은 “최근 일련의 학교급식 대규모 식중독 사건의 주범인 냉장‧냉동 식품, 특히 안전에 민감한 식육이나 케익 등에서는 안전관리와 식중독 재발 방지를 위한 정부의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다.
한국식품안전인증원 한상배 원장은 “최근 빈발하는 대형 식중독 사고를 원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재 우리나라 해썹을 더욱 고도화해야 한다”며 “케이크 빵류에 우선적으로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스마트 해썹을 도입하고, 냉장·냉동을 요하는 제품들에 온도를 제대로 지키는지를 감시할수 있는 지능형온도스티커(TTI) 등을 도입하는 게 필요할 것으로 보고 방안을 연구·고민하는 중”이라고 했다. 해썹(HACCP)은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생관리 시스템으로, 식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 요소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식품안전정보원 이재용 원장은 “AI나 빅데이터 분석 등 첨단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선제적 식품안전관리는 대한민국 수출 효자산업으로 성장하여 매년 역대 최고기록을 달성하고 있는 K-푸드 수출의 지속적 성장의 필수요건”이라고 했다.
냉장·냉동 케이크와 빵류는 최근 식중독 유발 위험이 큰 식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5~6월 충북 청주와 진천의 집단급식소에서 케이크, 빵을 섭취해 총 256명이 집단 식중독에 걸렸다. 식약처는 원인 식품인 딸기크림 롤케이크와 초코바나나빵의 판매를 중단하고 회수 조치했다. 지난 2018년에도 전국 55개 학교에서 초코케익을 먹고 2207명의 살모넬라 식중독 환자가 생긴 사례가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300여 건의 식중독으로 5000~60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는데, 핵심 원인 균은 살모넬라다. 최근 6년 동안(2019~2024) 국내에서 살모넬라균이 매년 110~160건, 1930~2840명의 환자를 발생시켰다. 중앙대 하상도 교수는 “살모넬라 같은 세균성 식중독은 아무리 위생관리를 잘해도 완벽한 제어가 어려워 언제든 대규모 사건을 발생시킬 수 있다”며 “미국, EU, 일본 등 안전관리 선진국에서도, 네슬레 등 글로벌 선도기업에서도, 수출 K-푸드에서도 언제든 발생할 수 있어 늘 대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살모넬라 오염을 예방하려면 '보존 온도'와 '시간'을 철저히 관리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냉동식품은 냉동상태로, 냉장식품은 냉장상태로 보관·유통되지 않으면 오염된 세균이 급격히 증식할 수 있어 식중독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최근 냉동 케이크와 생지를 유통하던 배송차량이 점포 도착 후, 냉동‧냉장고에 입고하지 않고 두 시간 이상 상온을 방치하는 사례가 적발되면서, 관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단법인 소비자시민모임 회장인 한국소비자단체연합회 문미란회장은 “최근 일련의 학교급식 대규모 식중독 사건의 주범인 냉장‧냉동 식품, 특히 안전에 민감한 식육이나 케익 등에서는 안전관리와 식중독 재발 방지를 위한 정부의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다.
한국식품안전인증원 한상배 원장은 “최근 빈발하는 대형 식중독 사고를 원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재 우리나라 해썹을 더욱 고도화해야 한다”며 “케이크 빵류에 우선적으로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스마트 해썹을 도입하고, 냉장·냉동을 요하는 제품들에 온도를 제대로 지키는지를 감시할수 있는 지능형온도스티커(TTI) 등을 도입하는 게 필요할 것으로 보고 방안을 연구·고민하는 중”이라고 했다. 해썹(HACCP)은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생관리 시스템으로, 식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 요소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식품안전정보원 이재용 원장은 “AI나 빅데이터 분석 등 첨단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선제적 식품안전관리는 대한민국 수출 효자산업으로 성장하여 매년 역대 최고기록을 달성하고 있는 K-푸드 수출의 지속적 성장의 필수요건”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