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국내 아이스크림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1% 증가했다./사진=연합뉴스
K-콘텐츠 열풍이 식품 시장까지 번졌다. K-아이스크림 수출액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며 ‘맛있는 한류’의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22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산 아이스크림 수출액은 6943만달러(한화 약 967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1% 증가했다. 수출량도 2만505톤으로 21.2% 늘며 상반기 기준 처음으로 2만 톤을 돌파했다. 최대 수출국은 미국이었으며, 필리핀, 중국, 캐나다, 러시아가 그 뒤를 이었다. 상반기 대미(對美) 수출액은 2541달러(한화 약 350억)로 전체의 36.6%를 차지했다.

K-아이스크림이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는 배경에는 맛과 형태의 차별성이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국내 출시 33년 차를 맞는 ‘메로나’다. 과일 맛이 나는 바(bar) 아이스크림이라는 점이 외국인에게는 신선하게 다가간 것이다. 빙그레 관계자는 “멜론 특유의 향과 식감, 시원한 목 넘김 덕분에 외국인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고 했다. 국가별 맞춤 전략도 인기 요인이다. 국내에서는 멜론맛 위주로 판매되는 메로나는, 해외에서 딸기·망고·코코넛·타로·피스타치오 등 지역별 선호도에 맞춘 맛으로 출시된다.


유럽의 비관세 장벽을 넘기 위한 대응도 눈에 띈다. 유럽에는 식물성 원료로만 만든 ‘비건 메로나’​​​를 출시했고, 중동 지역에서는 할랄 제품으로 유통된다.

빙과 업계는 국내 시장 성장세에 발맞춰 해외 사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최근 인도 자회사 ‘롯데 인디아’와 현지 빙과 기업 ‘하브모어’의 합병 절차를 마무리했다. 생산력 확대와 브랜드 도입을 위한 대규모 투자고 이어가고 있다. 700억 원을 투입해 인도 서부 푸네에 신설한 빙과 공장은 지난 2월 본격 가동에 들어갔으며, 이곳에서 생산된 ‘돼지바’는 출시 3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100만개를 돌파했다.

한편,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국내외에서 아이스크림 수요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아이스크림은 위를 차갑게 만들어 복통이나 설사를 유발하기 쉽다. 혈당을 올릴 수도 있으므로 과다 섭취는 금물이다. 차가운 아이스크림을 많이 먹으면 위에 부담이 되면서 소화가 잘 안되고, 장염이 발생할 위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