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산모 첫 출산 나이가 아기 성별을 결정하는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출산 예정인 아기의 성별은 가족과 지인들의 궁금증을 자아낸다. 아이의 성별을 처음 공개하며 축하하는 ‘젠더리빌(성별 공개) 파티’가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기도 했다. 아기 성별이 궁금하다면 산모 나이를 토대로 유추해보자. 최근, 산모의 나이가 아기 성별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두 명 이상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 5만8007명을 분석해 아기 성별과 유전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산모의 ▲키 ▲BMI(체질량 지수) ▲인종 ▲머리색 ▲혈액형 ▲수면-각성 주기 ▲초경 나이 ▲첫 아이 출산 시 나이 등 여덟 가지 특성이 아기 성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첫 아이를 출산했을 때 산모 나이가 아기 성별에 영향을 미쳤고 나머지 일곱 가지 요인은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출산 시 나이가 많을수록 한 성별의 아이만 낳을 확률이 높았다. 첫 출산 시 산모 나이가 28세 이상인 경우에는 한 성별의 아이만 가질 확률이 43%였고 23세 미만인 여성들은 34%였다.


연구팀은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가 자손 성별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산모의 노화는 난포기를 짧아지게 하고 질내 pH(산성도)가 낮아지는 등의 변화를 일으킨다. 난포기가 짧아지면 남자 아기를 결정짓는 Y염색체 정자가 생존에 유리하며 질내 pH가 낮아진 산성 환경은 여자 아기를 결정짓는 X염색체 정자 생존에 유리하다. 즉, 여성이 노화하면서 특정 성별에 유리한 가임 환경을 갖게 되면 동일한 성별의 아이를 출산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만으로 모계 연령이 아기 성별을 결정짓는 요인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지만 추후 생활습관, 영양 상태, 환경적인 노출, 유전자 상호작용 등 여러 변수를 고려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