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평발이라고 무조건 치료가 필요한 건 아니다. 대부분 10세 전후에 아치가 형성된다. 이후에 변형이 심해지거나 걸을 때 통증이 느껴지는 등의 상황이라면 진료를 받아보는 게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움푹 들어가 있어야 할 아이의 발바닥이 평평하면 덜컥 걱정부터 앞선다. ‘혹시 성장에 문제가 생기진 않을까’, ‘치료가 필요한 건 아닐까’.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김우섭 교수는 “대부분의 소아 평발은 자연스럽게 좋아진다”며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다만 정말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부모들이 궁금해하는 소아 평발에 대해 알아본다.

◇발바닥에 아치가 없다고요? “자연스러운 현상”
소아 평발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연성 평발’은 정상적인 성장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구조적 특징이다. 김우섭 교수는 “5세 이하 소아 약 90%가 유연성 평발을 보이며, 이 중 상당수는 만 10세 전후까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아치가 형성된다”고 말했다. 유연성 평발은 대개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개선되므로 걱정할 필요 없다. 미국소아정형외과학회(POSNA)나 대한소아정형외과학회 자료에 따르면, 유연성 평발의 자연 회복률은 80% 이상으로 보고됐다. 유연성 평발은 물리치료나 도수치료로 좋아지는 게 아니다. 무분별한 치료보다 정확한 진단과 경과 관찰이 중요하다.


◇치료는 ‘통증’이 기준… 수술 필요한 경우도
구조적 이상이 동반된 ‘강직성 평발’ 즉 발바닥 아치가 아예 형성되지 않거나 ▲발 안쪽이나 발목 통증이 지속됨 ▲자주 넘어지거나 균형을 잘 못 잡음 ▲운동 후 발의 피로가 과도하게 느껴짐 ▲양쪽 발 모양 차이가 심함 등 이상이 느껴지면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보는 게 좋다. 김우섭 교수는 “평발 자체보다 중요한 것은 통증 여부와 보행 기능”이라고 말했다. ‘평발이니까 무조건 치료한다’는 생각은 위험하다. 오히려 아이의 성장과 정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정확한 진단, 기능 중심의 평가, 적절한 시기의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 김우섭 교수는 “중요한 건 발 모양이 아니라 아이의 걸음과 삶의 질”이라며 “불필요한 걱정보다는, 정확한 관찰과 필요한 시점의 진료가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지켜줄 수 있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평발은 비수술적 치료로 완화된다. 다만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보조기·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보행 기능의 이상이나 발 피로가 동반되는 경우 ▲시간이 지나도 변형이 점점 심해질 때는 수술적 교정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는 상태에 따라 아킬레스건 연장술, 절골술, 교정술 등을 적용한다. 김우섭 교수는 “그 중 나사삽입시술은 매우 효과적인 평발의 최소침습적 시술”이라고 말했다. 시술 시간은 10분 이내, 절개는 1cm 정도로 매우 작다. 시술 적정 연령은 발의 변형이 고정되기 전이면서 증상이 명확한 만 8~12세다. 김 교수는 “성장판이 열려 있어도 시행할 수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조기에 교정할수록 아치 형성 및 보행 개선 효과가 크다고 보고하고 있다”며 “필요에 따라 나사는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성장기 아이에게 적합한 방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