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는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자사의 피부질환 항체 치료제 '이아날루맙'을 화농성 한선염 치료제로 평가한 임상 2상 시험에서 유의미한 효능을 입증하지 못했다고 1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아날루맙은 BAFF 수용체를 표적으로 삼아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하는 면역 B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B세포를 직접 제거하는 이중 작용기전을 가진 항체 치료제다. BAFF 단백질은 B세포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표적이다.
노바티스는 "이아날루맙은 임상 2상 시험에서 일부 환자에게서는 위약 대비 효능을 보였지만, 사전에 설정한 목표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화농성 한선염 치료제로의 개발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히다라덴염은 피부가 서로 맞닿는 부위에 통증성 결절이 생기는 피부 질환이다. 이아날루맙은 BAFF 수용체(BAFF-R)를 타깃으로 하는 이중 작용 기전의 B세포 제거(monoclonal B-cell depleting) 항체다. 다만, 새로운 안전성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
쇼그렌증후군,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등 치료제로 평가 중인 다른 연구는 그대로 진행한다. 노바티스는 이아날루맙의 쇼그렌증후군 관련 임상 3상 시험 2건의 결과를 연내에 발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면역성 혈소판감소증에 대한 후기 단계 임상도 함께 진행 중이다.
한편, 화농성 한선염은 면역반응으로 인해 통증을 동반한 염증성 결절, 악취를 동반한 농양, 개미굴 모양의 터널 등 병변이 꾸준히 나타나는 피부질환이다. 주로 엉덩이, 사타구니, 겨드랑이처럼 피부가 접히는 부위에 자주 발생하며, 병변이 생긴 후에는 정상으로 돌이키기 어려운 흉터가 남는다. 노바티스는 현재 화농성 한선염 치료제로 생물학적 제제(주사제)인 '코센틱스'를 보유하고 있다.
이아날루맙은 BAFF 수용체를 표적으로 삼아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하는 면역 B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B세포를 직접 제거하는 이중 작용기전을 가진 항체 치료제다. BAFF 단백질은 B세포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표적이다.
노바티스는 "이아날루맙은 임상 2상 시험에서 일부 환자에게서는 위약 대비 효능을 보였지만, 사전에 설정한 목표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화농성 한선염 치료제로의 개발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히다라덴염은 피부가 서로 맞닿는 부위에 통증성 결절이 생기는 피부 질환이다. 이아날루맙은 BAFF 수용체(BAFF-R)를 타깃으로 하는 이중 작용 기전의 B세포 제거(monoclonal B-cell depleting) 항체다. 다만, 새로운 안전성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
쇼그렌증후군,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등 치료제로 평가 중인 다른 연구는 그대로 진행한다. 노바티스는 이아날루맙의 쇼그렌증후군 관련 임상 3상 시험 2건의 결과를 연내에 발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면역성 혈소판감소증에 대한 후기 단계 임상도 함께 진행 중이다.
한편, 화농성 한선염은 면역반응으로 인해 통증을 동반한 염증성 결절, 악취를 동반한 농양, 개미굴 모양의 터널 등 병변이 꾸준히 나타나는 피부질환이다. 주로 엉덩이, 사타구니, 겨드랑이처럼 피부가 접히는 부위에 자주 발생하며, 병변이 생긴 후에는 정상으로 돌이키기 어려운 흉터가 남는다. 노바티스는 현재 화농성 한선염 치료제로 생물학적 제제(주사제)인 '코센틱스'를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