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미국의 인기 여행 인플루언서 아빠가 아들을 강하게 키우겠다며 7세 아들을 절벽에서 던지는 모습을 공개해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17일(현지 시각) 영국 매체 미러, 미국 연예 매체 피플 등에 따르면 유명 인플루언서 가렛 지(35)는 지난 13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을 가르치겠다”며 미국 콜로라도주 파월 호수 절벽에서 아들을 들어 올린 후 떨어뜨리는 영상을 올렸다. 가렛은 ‘버킷리스트 패밀리’라는 계정을 운영하며 700만 명에 달하는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영상 속에는 절벽 위에 앉아 있는 가렛과 아들의 모습이 담겼다. 가렛은 아들에게 용기를 북돋아 줬지만, 아들은 뛰지 못하고 머뭇거렸다. 이때 가렛이 아들을 번쩍 들어 올려 절벽 밑 호수로 던졌고 아들은 비명을 지르며 떨어졌다. 그러자 가렛의 다른 자녀들도 거침없이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모습이 이어졌다. 가렛은 “모든 상황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했다”며 “아들인 칼리는 점프하고 싶어 했지만, 자신감이 없었기 때문에 내가 던졌다”고 했다.
이 영상은 조회수 310만 회를 기록하며 13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아이에게 트라우마가 될 수 있다” “어떤 이유로도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 “이건 학대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실제로 가렛 지처럼 어린 아들을 절벽으로 던지는 행위는 자식들에게 트라우마를 남길 수 있다. 트라우마는 개인에게 신체적·정서적으로 해롭거나 위협이 되는 사건·상황으로 인해 충격을 받는 것을 말한다.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임명호 교수는 “아들의 동의 없이 위험한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은 죽을 때까지 트라우마로 남는다”며 “직접 뛰어내린 나머지 자녀들도 아빠가 형제를 던져버리는 모습을 보고 위협과 트라우마를 겪었을 것이다”고 했다. 트라우마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한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트라우마를 겪은 후 그 사건에 대한 공포감과 고통을 느끼며 이를 벗어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임상적 치료가 필요한 ‘질환’을 말한다. 주된 증상으로는 환청, 환각, 우울증, 조울증 등이 있다.
임 교수는 “중요한 것은 ‘당사자’의 의사다”라며 “아이든 어른이든 뛰어내리는 행동에 ‘동의’했다면 두려움을 극복하거나 강인한 의지가 생길 수 있겠지만, 타인에 의해 한 행동이라면 신체적·정서적 피해가 생긴다”고 했다.
가렛 지의 행동은 ‘지나친 동일시’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지나친 동일시란 타인을 자신의 ‘소유물’처럼 생각하는 것이다. 임명호 교수는 “가렛지가 세상에 느끼는 자격지심, 좌절감 등을 자녀들에게 투사한 것”이라며 “자신이 힘드니 자녀들도 똑같이 힘들다고 생각하는 것이다”고 했다. 이어 “가렛 지가 역경을 잘 극복했다면 이런 무모한 행동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며 “본인의 낮은 자존감을 아들에게 투영한 것”이다고 했다.
지난 17일(현지 시각) 영국 매체 미러, 미국 연예 매체 피플 등에 따르면 유명 인플루언서 가렛 지(35)는 지난 13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을 가르치겠다”며 미국 콜로라도주 파월 호수 절벽에서 아들을 들어 올린 후 떨어뜨리는 영상을 올렸다. 가렛은 ‘버킷리스트 패밀리’라는 계정을 운영하며 700만 명에 달하는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영상 속에는 절벽 위에 앉아 있는 가렛과 아들의 모습이 담겼다. 가렛은 아들에게 용기를 북돋아 줬지만, 아들은 뛰지 못하고 머뭇거렸다. 이때 가렛이 아들을 번쩍 들어 올려 절벽 밑 호수로 던졌고 아들은 비명을 지르며 떨어졌다. 그러자 가렛의 다른 자녀들도 거침없이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모습이 이어졌다. 가렛은 “모든 상황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했다”며 “아들인 칼리는 점프하고 싶어 했지만, 자신감이 없었기 때문에 내가 던졌다”고 했다.
이 영상은 조회수 310만 회를 기록하며 13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아이에게 트라우마가 될 수 있다” “어떤 이유로도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 “이건 학대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실제로 가렛 지처럼 어린 아들을 절벽으로 던지는 행위는 자식들에게 트라우마를 남길 수 있다. 트라우마는 개인에게 신체적·정서적으로 해롭거나 위협이 되는 사건·상황으로 인해 충격을 받는 것을 말한다.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임명호 교수는 “아들의 동의 없이 위험한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은 죽을 때까지 트라우마로 남는다”며 “직접 뛰어내린 나머지 자녀들도 아빠가 형제를 던져버리는 모습을 보고 위협과 트라우마를 겪었을 것이다”고 했다. 트라우마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한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트라우마를 겪은 후 그 사건에 대한 공포감과 고통을 느끼며 이를 벗어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임상적 치료가 필요한 ‘질환’을 말한다. 주된 증상으로는 환청, 환각, 우울증, 조울증 등이 있다.
임 교수는 “중요한 것은 ‘당사자’의 의사다”라며 “아이든 어른이든 뛰어내리는 행동에 ‘동의’했다면 두려움을 극복하거나 강인한 의지가 생길 수 있겠지만, 타인에 의해 한 행동이라면 신체적·정서적 피해가 생긴다”고 했다.
가렛 지의 행동은 ‘지나친 동일시’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지나친 동일시란 타인을 자신의 ‘소유물’처럼 생각하는 것이다. 임명호 교수는 “가렛지가 세상에 느끼는 자격지심, 좌절감 등을 자녀들에게 투사한 것”이라며 “자신이 힘드니 자녀들도 똑같이 힘들다고 생각하는 것이다”고 했다. 이어 “가렛 지가 역경을 잘 극복했다면 이런 무모한 행동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며 “본인의 낮은 자존감을 아들에게 투영한 것”이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