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콜마는 콜마USA 2공장을 준공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고 17일 밝혔다.
2공장은 연면적 1만7805㎡ 규모로, 연간 약 1억2000만개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기존 1공장과 합치면 연간 약 3억개의 생산 규모를 갖추게 된다. 캐나다 법인까지 더하면 북미 지역 전체에서 연간 약 4억7000만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는 북미 내 ODM 기업 중 최대 생산 규모다.
해당 공장에서는 기초스킨케어와 선케어 화장품을 집중 생산한다. 한국콜마는 색조 화장품 생산 중심의 기존 1공장에 더해 이번 제2공장 준공으로 색조, 기초스킨케어, 선케어 제품까지 미국 내에서 전 품목 ODM 생산이 가능해졌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부터 자외선차단제 생산을 위한 OTC(일반의약품) 인증까지 취득했다.
한국콜마는 2공장이 미국 수출 시 발생할 수 있는 관세 부담을 피할 수 있는 ‘관세 안전지대’로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관세 부담 없이 미국 진출을 원하는 K뷰티는 물론, 북미, 유럽, 남미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원하는 고객사들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협업 체계를 확대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6일(현지시간) 펜실베니아주 스콧 타운십에서 열린 준공식에는 콜마그룹 윤상현 부회장을 비롯해 브리짓 코시에로스키 펜실베니아주 하원의원 등 주정부 인사와 고객사 대표들 100여명이 참석했다.
2공장은 연면적 1만7805㎡ 규모로, 연간 약 1억2000만개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기존 1공장과 합치면 연간 약 3억개의 생산 규모를 갖추게 된다. 캐나다 법인까지 더하면 북미 지역 전체에서 연간 약 4억7000만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는 북미 내 ODM 기업 중 최대 생산 규모다.
해당 공장에서는 기초스킨케어와 선케어 화장품을 집중 생산한다. 한국콜마는 색조 화장품 생산 중심의 기존 1공장에 더해 이번 제2공장 준공으로 색조, 기초스킨케어, 선케어 제품까지 미국 내에서 전 품목 ODM 생산이 가능해졌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부터 자외선차단제 생산을 위한 OTC(일반의약품) 인증까지 취득했다.
한국콜마는 2공장이 미국 수출 시 발생할 수 있는 관세 부담을 피할 수 있는 ‘관세 안전지대’로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관세 부담 없이 미국 진출을 원하는 K뷰티는 물론, 북미, 유럽, 남미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원하는 고객사들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협업 체계를 확대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6일(현지시간) 펜실베니아주 스콧 타운십에서 열린 준공식에는 콜마그룹 윤상현 부회장을 비롯해 브리짓 코시에로스키 펜실베니아주 하원의원 등 주정부 인사와 고객사 대표들 100여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