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리움안과 강성용 대표원장 연구팀이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플라즈마(Plasma) 기반의 각막굴절렌티큘절제술(P-KLEx)이 기존 수술방식(C-KLEx)보다 더 빠르고 안정적인 시력 회복과 시력의 질을 제공한다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
이 연구는 SCI 안과학술지 'Journal of Refractive Surgery' 7월호에 'Optimizing Plasma Formation and Minimizing Microcavitation to Enhance Clinical Outcomes in Keratorefractive Lenticule Extraction(각막굴절 렌티큘 절제술에서 임상 결과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최적화 및 미세기포 억제 연구)라는 제목으로 게재됐으며, 한국의 아이리움안과와 연세대, 영국 리버풀대 등 한-영-독 3개국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KLEx(Keratorefractive Lenticule Extraction)는 대중에게 '스마일(SMILE)' '스마일라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해 각막 내부에 얇은 조직(렌티큘)을 렌즈 형태로 생성하고 이를 정밀하게 제거해 시력을 교정하는 수술 방법이다. 기존 시력교정술보다 각막 절개범위가 획기적으로 감소해 회복이 빠른 것이 특징이다.
'플라즈마 스마일'은 국제 학계에서 Plasma-KLEx 기반의 차세대 시력교정술로 자리 잡아왔다. 강성용 대표원장은 플라즈마 스마일을 2024년 미국 및 유럽백내장굴절수술학회(ASCRS, ESCRS), 한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KSCRS)와 2025년 미국유럽안과수술학회(AECOS) 등 권위 있는 학회에서 세계 안과 전문가들에게 지속적으로 전해왔고 지난해 ESCRS산하 CSCRS에서 KLEx분야 공로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번 논문에서 플라즈마 기반의 P-KLEx가 시력 회복과 안정성에서 기존 방식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팀이 두 그룹에 동일한 총 레이저 에너지량을 사용하고 시력회복 및 고위수차((HOAs)를 비교 분석한 결과, 플라즈마 에너지만을 활용해 각막 렌티큘을 생성하는 P-KLEx(플라즈마 스마일) 방식이 수술 2주 후 및 2개월 후 평균시력이 더 우수했고 시력 왜곡의 주요 원인인 고차수차·코마·구면수차의 유발률도 유의하게 낮았다.
연구팀은 미세기포 형성을 최소화하는 플라즈마 기반의 P-KLEx가 수술 후 회복 속도와 시력 품질 모두를 향상시키면서, 향후 시력의 질까지 높이는 정밀한 시력교정술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강성용 대표원장은 "미세한 플라즈마를 활용한 정밀한 수술 방식이 향후 스마일(SMILE) 수술에 한정되지 않고 시력 교정 기술 전반에 새로운 진보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연구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SCI 안과학술지 'Journal of Refractive Surgery' 7월호에 'Optimizing Plasma Formation and Minimizing Microcavitation to Enhance Clinical Outcomes in Keratorefractive Lenticule Extraction(각막굴절 렌티큘 절제술에서 임상 결과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최적화 및 미세기포 억제 연구)라는 제목으로 게재됐으며, 한국의 아이리움안과와 연세대, 영국 리버풀대 등 한-영-독 3개국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KLEx(Keratorefractive Lenticule Extraction)는 대중에게 '스마일(SMILE)' '스마일라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해 각막 내부에 얇은 조직(렌티큘)을 렌즈 형태로 생성하고 이를 정밀하게 제거해 시력을 교정하는 수술 방법이다. 기존 시력교정술보다 각막 절개범위가 획기적으로 감소해 회복이 빠른 것이 특징이다.
'플라즈마 스마일'은 국제 학계에서 Plasma-KLEx 기반의 차세대 시력교정술로 자리 잡아왔다. 강성용 대표원장은 플라즈마 스마일을 2024년 미국 및 유럽백내장굴절수술학회(ASCRS, ESCRS), 한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KSCRS)와 2025년 미국유럽안과수술학회(AECOS) 등 권위 있는 학회에서 세계 안과 전문가들에게 지속적으로 전해왔고 지난해 ESCRS산하 CSCRS에서 KLEx분야 공로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번 논문에서 플라즈마 기반의 P-KLEx가 시력 회복과 안정성에서 기존 방식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팀이 두 그룹에 동일한 총 레이저 에너지량을 사용하고 시력회복 및 고위수차((HOAs)를 비교 분석한 결과, 플라즈마 에너지만을 활용해 각막 렌티큘을 생성하는 P-KLEx(플라즈마 스마일) 방식이 수술 2주 후 및 2개월 후 평균시력이 더 우수했고 시력 왜곡의 주요 원인인 고차수차·코마·구면수차의 유발률도 유의하게 낮았다.
연구팀은 미세기포 형성을 최소화하는 플라즈마 기반의 P-KLEx가 수술 후 회복 속도와 시력 품질 모두를 향상시키면서, 향후 시력의 질까지 높이는 정밀한 시력교정술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강성용 대표원장은 "미세한 플라즈마를 활용한 정밀한 수술 방식이 향후 스마일(SMILE) 수술에 한정되지 않고 시력 교정 기술 전반에 새로운 진보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연구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