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15일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병리 설루션 스타트업 에이비스와 AI 기반 HER2 진단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HER2는 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형 단백질로,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에 영향을 미치는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다. 특히 유방암은 HER2 발현 정도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질 수 있어, 유방암 환자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선 정확한 HER2 진단이 권장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유방암의 새로운 HER2 분류 체계에 부합하는 진단을 지원하고, 국내 유방암 환자들이 혁신적인 치료 기회를 적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협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에이비스의 AI 기반 바이오마커 정량화 설루션 '콴티 IHC'의 HER2 진단 기술을 국내 임상 현장에 도입·적용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AI 기반 HER2 진단 기술의 임상적 유용성 확인을 위한 공동 연구 과제 추진도 검토할 예정이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전세환 대표이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HER2 저발현·초저발현과 같은 새로운 분류 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AI 기반 진단 기술을 국내 임상 환경에 도입함으로써, 더 많은 환자들이 적시에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HER2는 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형 단백질로,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에 영향을 미치는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다. 특히 유방암은 HER2 발현 정도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질 수 있어, 유방암 환자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선 정확한 HER2 진단이 권장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유방암의 새로운 HER2 분류 체계에 부합하는 진단을 지원하고, 국내 유방암 환자들이 혁신적인 치료 기회를 적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협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에이비스의 AI 기반 바이오마커 정량화 설루션 '콴티 IHC'의 HER2 진단 기술을 국내 임상 현장에 도입·적용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AI 기반 HER2 진단 기술의 임상적 유용성 확인을 위한 공동 연구 과제 추진도 검토할 예정이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전세환 대표이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HER2 저발현·초저발현과 같은 새로운 분류 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AI 기반 진단 기술을 국내 임상 환경에 도입함으로써, 더 많은 환자들이 적시에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