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에서 소득 수준이 중증 저혈당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2형 당뇨병 환자의 중증 저혈당 증상의 발생 위험도가 최대 2.5배 이상 높았다.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내분비내과 윤재승 교수,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김미숙 교수, 숭실대 한경도 교수팀이 한국 국민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NHID)와 영국 바이오뱅크(UKBB)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심층 조사한 결과를 밝혔다. 해당 조사는 2형 당뇨병 성인 환자 185만여 명의 소득 및 임상적 특성을 심층 조사했다. 환자 데이터는 소득 수준에 따라 네 개 구간으로 나뉘었다. 연구 결과, 저소득 환자군은 최상위 소득 수준 환자군에 비해 2형 당뇨병의 중증 저혈당 악화 위험이 약 2.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소득 수준이 낮았던 의료급여 수급 환자(중위소득40% 미만, 하위3%)의 5년간 소득 변화와 중증 저혈당 위험도도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1년 이상 의료급여를 수급한 환자는 중증 저혈당 위험이 71% 증가했지만, 5년간 소득이 꾸준히 증가해 최상위 소득 군으로 이동한 환자는 중증 저혈당 위험도가 약 26% 감소했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남성 ▲인슐린 미사용자 ▲만성 신장 질환이 없는 사람 ▲당뇨병 유병 기간이 짧은 사람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윤재승 교수는 “중증 저혈당은 치명적인 당뇨병 합병증으로, 당뇨병의 사망률과 이환율을 증가시키고 의료비용 상승을 초래한다”며 “이번 연구는 당뇨병 관리에서 소득 수준이 실질적인 위험 요인임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저소득층을 위한 경제적 지원과 맞춤형 관리 전략이 중증 저혈당 예방은 물론, 사회적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한편, 이 연구는 미국 국제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에 게재됐다.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내분비내과 윤재승 교수,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김미숙 교수, 숭실대 한경도 교수팀이 한국 국민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NHID)와 영국 바이오뱅크(UKBB)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심층 조사한 결과를 밝혔다. 해당 조사는 2형 당뇨병 성인 환자 185만여 명의 소득 및 임상적 특성을 심층 조사했다. 환자 데이터는 소득 수준에 따라 네 개 구간으로 나뉘었다. 연구 결과, 저소득 환자군은 최상위 소득 수준 환자군에 비해 2형 당뇨병의 중증 저혈당 악화 위험이 약 2.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소득 수준이 낮았던 의료급여 수급 환자(중위소득40% 미만, 하위3%)의 5년간 소득 변화와 중증 저혈당 위험도도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1년 이상 의료급여를 수급한 환자는 중증 저혈당 위험이 71% 증가했지만, 5년간 소득이 꾸준히 증가해 최상위 소득 군으로 이동한 환자는 중증 저혈당 위험도가 약 26% 감소했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남성 ▲인슐린 미사용자 ▲만성 신장 질환이 없는 사람 ▲당뇨병 유병 기간이 짧은 사람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윤재승 교수는 “중증 저혈당은 치명적인 당뇨병 합병증으로, 당뇨병의 사망률과 이환율을 증가시키고 의료비용 상승을 초래한다”며 “이번 연구는 당뇨병 관리에서 소득 수준이 실질적인 위험 요인임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저소득층을 위한 경제적 지원과 맞춤형 관리 전략이 중증 저혈당 예방은 물론, 사회적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한편, 이 연구는 미국 국제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