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지보다 약지가 길면 성적으로 활발한 모습을 보인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손가락 길이의 비율을 관찰하면 건강적 특성과 성향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최근에는 검지와 약지 길이 비율을 통해 남성의 성욕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내용의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일본 오키야마대 연구팀은 ‘실험동물(Experimental Animals)’ 학술지를 통해 수컷 쥐의 발가락 길이가 성욕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검지와 약지 비율은 태아가 자궁 속에서 어떤 성 호르몬에 노출됐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에 따르면 태아가 자궁 내에서 안드로겐(남성 호르몬)에 더 많이 노출되면 검지보다 약지가 더 길었고, 에스트로겐(여성 호르몬)에 더 노출되면 약지보다 검지가 길었다. 평균적으로 남성은 약지가 더 길고, 여성은 비슷하거나 검지가 약간 더 긴 편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약지가 더 긴 쥐는 성적으로 활발했을 뿐 아니라 명확한 이성 선호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이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교미 실험을 한 결과, 첫 번째 성적 접촉에서 사정한 수컷 쥐들이 그렇지 않은 쥐들보다 더 긴 약지를 가지고 있었다.


수컷 쥐들에게 수컷 냄새가 밴 침구와 암컷 냄새가 밴 침구 중 선택하게 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긴 약지를 가진 쥐들만 암컷 침구에 지속적으로 흥미를 보였고, 더 많이 냄새를 맡고, 오래 탐색했다.

연구를 진행한 시카모토 교수는 “검지와 약지의 비율이 쥐의 성적 활동을 예측하는 신뢰할 수 있는 생물학적 지표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단순히 쥐의 성적 행동을 넘어, 태아기 호르몬 노출이 뇌에 영구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손가락 길이 비율이 뇌 구조의 생물학적 지표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궁 속 태아에게 노출되는 호르몬이 성적 취향이나 성욕, 정서적 애착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비율은 인지 특성이나 정신 건강 상태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자폐증, 우울증, 애착 장애 같은 성별 차이를 보이는 질환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해당 연구는 수컷 쥐만을 대상으로 진행돼 인간에게 적용될 수 있을지 여부는 불확실하다는 한계가 있다. 통제된 실험실 환경에서의 쥐와 다르게 인간의 성적 행동은 생물학적 요소를 뛰어넘는 문화적, 사회적, 심리적 요인 등 복잡한 요소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