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이미지
아일랜드 스포츠 스타 데니스 조셉 케리(54)가 콧구멍에 아이폰 충전기를 꽂은 사진을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사진이라고 속여 논란을 일으켰다.​​/사진=더 선
아일랜드의 은퇴한 스포츠 스타가 콧구멍에 아이폰 충전기를 꽂은 사진을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사진이라고 속여 논란을 일으켰다.

지난 4일(현지시각) 더 선 등 외신에 따르면 ‘헐링계의 마라도나’라고 불린 데니스 조셉 케리(54)는 최근 현지 법원에서 암에 걸린 척 팬들에게 기부금을 받아낸 것 등 사기 혐의 10건을 인정했다.

헐링은 아일랜드 전통 스포츠로, 막대기와 공을 이용한 구기 종목이다. 한 팀당 15명의 선수로 구성돼 있으며, 막대기로 공을 쳐 상대방의 골문을 넘기면 득점하는 방식이다. 케리는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킬케니의 헐링팀에서 활약하며 수많은 메달을 획득한 전설적인 선수다. 이런 경력 때문에 그는 전설적인 축구선수 마라도나의 이름을 딴 별명을 가졌다.


기소 내용에 따르면 케리는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암 치료비가 필요하다면서 불특정 다수에게 돈을 빌렸다. 그는 2006년 선수 은퇴 후 위생용품, 호텔 등 사업에 도전했다가 실패해 빚더미에 앉아 경제적으로 어려워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콧줄(코를 통해 식도를 지나 위까지 삽입하는 관)을 하고 있는 것처럼 아이폰 충전기를 콧구멍에 꽂은 사진을 공개해 많은 조롱과 비판을 받았다.

케리의 대변인은 “암에 걸린 적은 없지만 지난해 심장 수술을 받는 등 건강 상태가 안 좋은 것은 사실이다”라고 말다. 그는 원래 10월 사기 혐의로 재판을 받을 예정이었지만, 유죄를 인정하면서 재판은 열리지 않게 됐다. 현재 케리는 보석금을 내고 풀려났다.



이미지
아일랜드 스포츠 스타 데니스 조셉 케리(54)가 콧구멍에 아이폰 충전기를 꽂은 사진을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사진이라고 속여 논란을 일으켰다.​​/사진=더 선
한편, 콧줄 치료는 실제로 병원에서 시행될 때가 많다. 고려대련요양병원 안광욱 원장(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은 “장폐색(장이 막혀 음식물이나 가스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것) 등이 발생했을 때 위장관에 공기가 가득 차서 압력을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말했다. 콧줄을 통해 위장관에 있는 내용물을 제거해 장의 압력을 낮추는 방식이다. 안 원장은 “노화나 질병 등으로 음식물을 삼킬 수 없는 상태가 돼 음식이나 물 등을 위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콧줄 치료는 나이와 상관없이 진행할 수 있다. 안광욱 원장은 “교통사고나 위장관 수술 등으로 음식을 삼킬 수 없으면 필요에 따라 콧줄 치료를 한다”고 말했다. 환자들은 삼킴 기능이 회복했을 때 콧줄을 제거할 수 있다. 안 원장은 “콧줄을 제거하려면 이 치료를 시작하게 된 원인 질환의 회복 여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