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온다습한 7월과 8월에는 피부 트러블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 특히 주의해야 할 대표적인 질환이 바로 무좀이다. 무좀은 피부에 곰팡이균이 감염돼 생기는 만성 재발성 피부질환으로, 의학적으로는 '백선'이라 부른다. 높은 온도와 습도는 이 곰팡이균의 증식을 활발하게 만들어 증상이 악화되기 쉽다.
무좀은 발가락 사이나 발바닥 외에도 손바닥, 손가락, 심지어 손·발톱에도 생길 수 있다. 곰팡이균 감염 질환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전체 인구의 30~70%가 발 무좀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대서울병원 피부과 노주영 교수는 “여름철 덥고 습한 환경은 특히 곰팡이균 증식에 이상적인 조건”이라고 말했다.
무좀은 여러 형태가 있는데, 발가락 사이에 생기는 ‘지간형’, 발바닥 전체에 각질이 두꺼워지는 ‘각화형’, 물집이 생기는 ‘수포형’ 등으로 나뉜다. 손무좀(수부백선)은 과각화증과 인설을 동반하는 경도의 홍반을 보이는 질환으로서 주로 손바닥에 생긴다.
무좀 증상은 ▲손·발톱 표면 거칠어짐 ▲갈라짐 ▲하얗게 부스러짐 ▲두꺼워짐 ▲변색 등으로 나타난다. 증상이 심할수록 치료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초기에 바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 교수는 “무좀은 피부 온도와 습도가 상승하면 악화하거나 재발하기에 확실히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무좀과 습진을 혼동해 약을 함부로 쓰면 증상이 악화돼 더욱 고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치료는 항진균 도포제를 병변 부위와 주변에 넓게 바르거나, 필요 시 경구용 항진균제를 병행한다. 하지만 손상이 심하면 국소마취 후 손·발톱을 제거한 뒤, 연고를 바르고 새 손·발톱이 자라길 기다려야 한다.
평소에는 청결과 건조 유지가 중요하며 피부에 밀착되는 옷은 피하는 것이 좋다. 샤워 후 발을 충분히 건조시키고, 땀이 많은 사람은 흡수성이 좋은 면양말을 신는 게 좋다. 다한증이 있는 경우 곰팡이균 감염의 재발 위험이 높기 때문에 다한증 치료도 병행해야 한다. 노 교수는 “식초나 마늘 사용과 같은 민간요법을 하는 경우 손상된 피부를 통해 이차 세균 감염과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절대 해선 안 되고,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무실 등 실내에서는 가급적 신발을 벗거나 슬리퍼로 갈아 신는 것이 좋다. 또 같은 신발을 오래 신기보다 여러 켤레를 번갈아 사용한다. 신었던 신발은 안에 곰팡이가 증식했을 수 있어 주기적으로 햇볕에 말리거나 소독용 스프레이를 뿌려 뒤집어서 말린다. 수영장이나 목욕탕에서는 공용 수건이나 가운보다는 개인 용품을 사용하는 것이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무좀은 발가락 사이나 발바닥 외에도 손바닥, 손가락, 심지어 손·발톱에도 생길 수 있다. 곰팡이균 감염 질환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전체 인구의 30~70%가 발 무좀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대서울병원 피부과 노주영 교수는 “여름철 덥고 습한 환경은 특히 곰팡이균 증식에 이상적인 조건”이라고 말했다.
무좀은 여러 형태가 있는데, 발가락 사이에 생기는 ‘지간형’, 발바닥 전체에 각질이 두꺼워지는 ‘각화형’, 물집이 생기는 ‘수포형’ 등으로 나뉜다. 손무좀(수부백선)은 과각화증과 인설을 동반하는 경도의 홍반을 보이는 질환으로서 주로 손바닥에 생긴다.
무좀 증상은 ▲손·발톱 표면 거칠어짐 ▲갈라짐 ▲하얗게 부스러짐 ▲두꺼워짐 ▲변색 등으로 나타난다. 증상이 심할수록 치료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초기에 바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 교수는 “무좀은 피부 온도와 습도가 상승하면 악화하거나 재발하기에 확실히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무좀과 습진을 혼동해 약을 함부로 쓰면 증상이 악화돼 더욱 고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치료는 항진균 도포제를 병변 부위와 주변에 넓게 바르거나, 필요 시 경구용 항진균제를 병행한다. 하지만 손상이 심하면 국소마취 후 손·발톱을 제거한 뒤, 연고를 바르고 새 손·발톱이 자라길 기다려야 한다.
평소에는 청결과 건조 유지가 중요하며 피부에 밀착되는 옷은 피하는 것이 좋다. 샤워 후 발을 충분히 건조시키고, 땀이 많은 사람은 흡수성이 좋은 면양말을 신는 게 좋다. 다한증이 있는 경우 곰팡이균 감염의 재발 위험이 높기 때문에 다한증 치료도 병행해야 한다. 노 교수는 “식초나 마늘 사용과 같은 민간요법을 하는 경우 손상된 피부를 통해 이차 세균 감염과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절대 해선 안 되고,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무실 등 실내에서는 가급적 신발을 벗거나 슬리퍼로 갈아 신는 것이 좋다. 또 같은 신발을 오래 신기보다 여러 켤레를 번갈아 사용한다. 신었던 신발은 안에 곰팡이가 증식했을 수 있어 주기적으로 햇볕에 말리거나 소독용 스프레이를 뿌려 뒤집어서 말린다. 수영장이나 목욕탕에서는 공용 수건이나 가운보다는 개인 용품을 사용하는 것이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