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랑에 빠지면 번지 점프와 같은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이나 비윤리적 행동을 쉽게 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중국 쓰촨 국제학대 연구팀은 사랑에 빠지는 것과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에 대한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국 성인 150명의 참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영상을 보여줬다. 첫 번째 그룹에는 남녀가 키스하거나, 빨간 장미 꽃다발, 하트 모양의 분홍색 케이크처럼 로맨틱한 이미지로 구성된 광고를 보여줬다. 다른 그룹에는 로맨틱한 장면이 나오지 않는 휴대전화와 비디오 게임 광고를 보여줬다.
이후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원예 전시회 방문권’과 ‘번지 점프 체험권’을 제공했다. 그 결과, 휴대전화와 비디오 게임 광고를 시청한 사람 중 53%가 번지 점프 체험권을 선택했다. 하지만 로맨틱한 광고를 본 그룹에서는 75%가 번지 점프 체험권을 택했다.
연구팀은 사랑에 빠지는 것과 비도덕적 행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도 진행했다. 새로운 참가자 15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사랑에 관한 영상과 사랑과 관련이 없는 영상을 보여줬다. 영상이 끝난 후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두 개의 가짜 광고 링크를 공개했다. 하나는 비디오 게임에 관한 광고였고, 다른 하나는 뇌물을 들키지 않고 받는 방법에 관한 광고였다. 연구팀은 “사랑에 관한 영상을 본 사람들이 뇌물에 관한 광고 링크를 더 많이 클릭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이 상대방에게 자신의 건강, 활력을 보여주려는 욕구를 반영한 것이다”고 했다. 사랑에 빠지면 뇌에서 도파민, 옥시토신, 페닐에틸아민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폭발적으로 분비된다. 특히 도파민은 쾌감, 흥분, 집중력을 올리고 위험을 감수하게 만든다. 사랑에 빠지면 자기 통제력이 약해진다. 도덕적이거나 합리적 판단보다는 감정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사랑에 빠지면 ‘지금 이 순간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우선시되면서 번지점프, 충동적 소비, 즉흥적인 여행 같은 행동을 하게 된다”며 “무모하고 비윤리적인 행동들에 쉽게 끌리게 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스칸디나비아 심리학 저널’에 지난 5월 게재됐다.
중국 쓰촨 국제학대 연구팀은 사랑에 빠지는 것과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에 대한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국 성인 150명의 참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영상을 보여줬다. 첫 번째 그룹에는 남녀가 키스하거나, 빨간 장미 꽃다발, 하트 모양의 분홍색 케이크처럼 로맨틱한 이미지로 구성된 광고를 보여줬다. 다른 그룹에는 로맨틱한 장면이 나오지 않는 휴대전화와 비디오 게임 광고를 보여줬다.
이후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원예 전시회 방문권’과 ‘번지 점프 체험권’을 제공했다. 그 결과, 휴대전화와 비디오 게임 광고를 시청한 사람 중 53%가 번지 점프 체험권을 선택했다. 하지만 로맨틱한 광고를 본 그룹에서는 75%가 번지 점프 체험권을 택했다.
연구팀은 사랑에 빠지는 것과 비도덕적 행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도 진행했다. 새로운 참가자 15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사랑에 관한 영상과 사랑과 관련이 없는 영상을 보여줬다. 영상이 끝난 후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두 개의 가짜 광고 링크를 공개했다. 하나는 비디오 게임에 관한 광고였고, 다른 하나는 뇌물을 들키지 않고 받는 방법에 관한 광고였다. 연구팀은 “사랑에 관한 영상을 본 사람들이 뇌물에 관한 광고 링크를 더 많이 클릭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이 상대방에게 자신의 건강, 활력을 보여주려는 욕구를 반영한 것이다”고 했다. 사랑에 빠지면 뇌에서 도파민, 옥시토신, 페닐에틸아민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폭발적으로 분비된다. 특히 도파민은 쾌감, 흥분, 집중력을 올리고 위험을 감수하게 만든다. 사랑에 빠지면 자기 통제력이 약해진다. 도덕적이거나 합리적 판단보다는 감정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사랑에 빠지면 ‘지금 이 순간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우선시되면서 번지점프, 충동적 소비, 즉흥적인 여행 같은 행동을 하게 된다”며 “무모하고 비윤리적인 행동들에 쉽게 끌리게 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스칸디나비아 심리학 저널’에 지난 5월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