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유제약은 골다공증 치료제 ‘맥스마빌’ 장용정을 데노수맙 중단 후 골밀도 유지를 위한 순차치료 옵션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고 7일 밝혔다.
을지의대 김효정 교수는 대한골대사학회 국제 학술대회(SSBH 2025)에서 이번 연구에서 폐경 후 골다공증 환자 360명을 대상으로 데노수맙 투여(평균 4.2회) 후 다양한 골흡수억제제로 전환했을 때 골밀도 유지 효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저용량 알렌드로네이트와 칼시트리올 복합정(맥스마빌 장용정)군에서 요추, 대퇴 경부, 대퇴 전체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골밀도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로 전환한 군에서는 모든 측정 부위의 골밀도가 다른 치료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했다. 이반드로네이트로 전환한 군에서는 요추와 대퇴 경부 모두에서 골밀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리세드로네이트로 전환한 환자군에서는 대퇴 경부에서만 유의한 골밀도 감소가 관찰됐다.
김효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데노수맙 중단 후 치료 효과를 조사한 후향적 연구들 중 가장 큰 규모”라며 “아시아 인구집단에 초점을 맞춘 리얼월드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맥스마빌 장용정은 알렌드로네이트 저용량(5mg)과 활성형 비타민D인 칼시트리올 복합 개량신약이다. 생체 이용률을 높이는 이중과립법으로 개발된 장용정 제제로, 장에서 녹아 흡수돼 다른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대비 식도와 위장관 관련 부작용이 낮다.
유유제약 ETC마케팅팀 이보연 PM은 “지속적인 근거 기반 학술마케팅 활동을 통해 골다공증 치료 의료진에게 제품의 특장점을 알리겠다”고 했다.
을지의대 김효정 교수는 대한골대사학회 국제 학술대회(SSBH 2025)에서 이번 연구에서 폐경 후 골다공증 환자 360명을 대상으로 데노수맙 투여(평균 4.2회) 후 다양한 골흡수억제제로 전환했을 때 골밀도 유지 효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저용량 알렌드로네이트와 칼시트리올 복합정(맥스마빌 장용정)군에서 요추, 대퇴 경부, 대퇴 전체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골밀도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로 전환한 군에서는 모든 측정 부위의 골밀도가 다른 치료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했다. 이반드로네이트로 전환한 군에서는 요추와 대퇴 경부 모두에서 골밀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리세드로네이트로 전환한 환자군에서는 대퇴 경부에서만 유의한 골밀도 감소가 관찰됐다.
김효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데노수맙 중단 후 치료 효과를 조사한 후향적 연구들 중 가장 큰 규모”라며 “아시아 인구집단에 초점을 맞춘 리얼월드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맥스마빌 장용정은 알렌드로네이트 저용량(5mg)과 활성형 비타민D인 칼시트리올 복합 개량신약이다. 생체 이용률을 높이는 이중과립법으로 개발된 장용정 제제로, 장에서 녹아 흡수돼 다른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대비 식도와 위장관 관련 부작용이 낮다.
유유제약 ETC마케팅팀 이보연 PM은 “지속적인 근거 기반 학술마케팅 활동을 통해 골다공증 치료 의료진에게 제품의 특장점을 알리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