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한미약품 제공
한미약품은 지난달 17~21일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국제림프종학회(ICML 2025)’에 참가해 표적항암제 ‘HM97662’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HM97662는 EZH1과 EZH2 단백질을 동시에 억제하는 이중 저해 기전을 통해 기존 EZH2 선택적 저해제 대비 우수한 항암 효능과 내성 극복 가능성을 갖춘 표적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유전자 조절 스위치’로 불리는 EZH1과 EZH2 단백질은 암 세포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두 단백질을 동시에 조절함으로써 암 유발 단백질 복합체인 ‘폴리콤 억제 복합체2(PRC2)’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 강력한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HM97662 단독 투여만으로도 B세포 림프종 모델에서 유의미한 종양 성장 억제 효력을 입증한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HM97662는 EZH2 선택적 저해제인 타제메토스타트(타즈베릭) 대비 B세포 림프종과 다발성 골수종 세포주에서 히스톤 단백질 H3 27번 라이신 잔기의 삼중 메틸화를 용량 의존적으로 보다 강력하게 억제했다.


특히 EZH2 선택적 저해제인 타제메토스타트에 장기간 노출시켜 구축한 내성 세포주에서는 EZH1 단백질의 상보적 발현 증가 현상이 관찰됐으며, 이 내성 세포주를 이종이식한 타제메토스타트 내성 동물 모델에서도 항종양 활성 효과를 유지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이번 연구 결과는 EZH1과 EZH2를 동시에 억제하는 이중 타깃 전략이 기존 EZH2 선택적 저해제에 발생하는 내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 치료 기전이 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현재 한미약품은 한국과 호주에서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 제제 투여를 통한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는 글로벌 임상 1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오는 10월 열리는 유럽종양학회에서 HM97662의 글로벌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