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카티스템 / 메디포스트 제공
메디포스트는 중등도 이상 퇴행성 슬관절염 중년 환자에서 제대혈유래 동종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 ‘카티스템’의 연골 재생 효과를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카티스템을 이식하고, 고위 경골 절골술을 병용해 최소 2년간 추적관찰을 실시했다. 그 결과, 평균 연골 병변이 수술 전 7.00cm²에서 수술 후 0.16cm²로 감소했다. 백분율로는 연골 재생률이 97.7%에 달했다.

연골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국제 기준인 ‘ICRS 등급’도 개선됐다. 수술 전에는 가장 심각한 손상 단계인 4등급으로 평가됐지만, 수술 후에는 정상에 가까운 1등급 수준으로 회복됐다. 신체적 건강상태(SF-36 PCS)를 평가하는 점수 또한 27.9점에서 55.3점으로 98.2% 향상됐고, 정신건강 상태(SF-36 MCS)를 나타내는 점수도 41점에서 63.1점으로 53.9% 개선됐다.

연구를 진행한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석중 교수는 “카티스템 단독 이식 또는 고위 경골 절골술 단독과의 비교연구도 필요하다”며 “MRI 관찰을 통한 비침습적 연골 평가 도입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카티스템과 병용한 고위 경골 절골술은 기존부터 쓰여온 관절염 지연 수술이다. 그러나 장기적 연골 재생 효과가 미미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카티스템은 지방유래 줄기세포에 비해 면역반응을 잘 일으키지 않아 안정성이 높고, 증식 능력이 뛰어나 생물학적으로 유리한 치료제로 평가받는다. 비침습적 채취가 가능해 기성품 형태로 대량 공급이 가능하다.

메디포스트 관계자는 “이번 연구 결과는 카티스템이 단순한 증상 완화가 아닌 실질적인 연골 재생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입증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임상 연구를 통해 카티스템의 치료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