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과 관련해 ‘대화’의 메시지를 내면서 정부와 의료계 간의 대화를 통한 갈등 해소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3일,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회장은 정례브리핑에서 “대통령이 의료사태에 대해 협회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해법 또한 다르지 않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회장은 “수련을 중단한 전공의들 역시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도록 준비가 돼야 한다"며 "여기에는 많은 이해당사자들과 정책 당국의 이해와 노력, 그리고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회장은 “의대생들이 돌아와 다시 공부할 수 있도록 의학교육 정상화가 필요하다”며 “한 학년에 2개의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는 각 대학의 부담은 너무 클 것이지만, 학생들이 학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의과대학에서는 어려운 결단을 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 해법에 대한 질문에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를 충분히 하고, 또 적절하게 필요한 영역에서 타협해 나가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의대생이) 2학기에 가능하면 복귀할 수 있는 상황을 정부 차원에 많이 만들어내야 하겠다”며 “빠른 시간 내에 대화하고, 이것도 역시 솔직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진 대통령실 수석보좌관회의에선 “가장 어려운 의제로 생각했던 의료대란 문제와 관련, 해답이 있을지 가능하면 찾아봐 달라”며 “의사단체 및 관련 의료단체와의 대화도 치밀하고 섬세하게, 충분하게 해주길 부탁드린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번 발언은 이 대통령 취임 후 의정 갈등과 관련한 첫 공개 발언이다. 구체적인 해법까지 제시된 것은 아니지만, 이 대통령이 사태 해결의 필요성과 의대생 복귀 방안 마련까지 언급하면서 이른 시일 내에 의정 대화 등이 개시될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종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이사장은 “대통령이 의대생과 전공의 복귀에 관심을 갖고 노력하겠다는데 원칙적으로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학사 운영의 원칙, 각 대학 사정 등 고려할 부분이 많아서 신중하게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3일,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회장은 정례브리핑에서 “대통령이 의료사태에 대해 협회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해법 또한 다르지 않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회장은 “수련을 중단한 전공의들 역시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도록 준비가 돼야 한다"며 "여기에는 많은 이해당사자들과 정책 당국의 이해와 노력, 그리고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회장은 “의대생들이 돌아와 다시 공부할 수 있도록 의학교육 정상화가 필요하다”며 “한 학년에 2개의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는 각 대학의 부담은 너무 클 것이지만, 학생들이 학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의과대학에서는 어려운 결단을 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 해법에 대한 질문에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를 충분히 하고, 또 적절하게 필요한 영역에서 타협해 나가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의대생이) 2학기에 가능하면 복귀할 수 있는 상황을 정부 차원에 많이 만들어내야 하겠다”며 “빠른 시간 내에 대화하고, 이것도 역시 솔직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진 대통령실 수석보좌관회의에선 “가장 어려운 의제로 생각했던 의료대란 문제와 관련, 해답이 있을지 가능하면 찾아봐 달라”며 “의사단체 및 관련 의료단체와의 대화도 치밀하고 섬세하게, 충분하게 해주길 부탁드린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번 발언은 이 대통령 취임 후 의정 갈등과 관련한 첫 공개 발언이다. 구체적인 해법까지 제시된 것은 아니지만, 이 대통령이 사태 해결의 필요성과 의대생 복귀 방안 마련까지 언급하면서 이른 시일 내에 의정 대화 등이 개시될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종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이사장은 “대통령이 의대생과 전공의 복귀에 관심을 갖고 노력하겠다는데 원칙적으로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학사 운영의 원칙, 각 대학 사정 등 고려할 부분이 많아서 신중하게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