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가논은 자궁내막증 관련 통증 치료제로 개발 중이던 신약 후보물질 'OG-6219'의 임상 2상 시험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입증하지 못해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OG-6219는 2021년 오가논이 핀란드 제약사 포렌도 파마를 최대 9억5400만달러(한화 약 1조3000억원)에 인수하면서 확보한 먹는 자궁내막증 신약 후보물질이다. 자궁 성장을 조절하고 염증을 유발하는 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통증을 완화하면서 전신 호르몬 수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했다.
이번 임상은 중등도~중증 자궁내막증 관련 통증을 겪는 18~49세 여성 354명을 대상으로 OG-6219와 위약을 비교한 연구다. 연구 결과, OG-6219는 위약 대비 자궁내막증 관련 골반통을 유의미하게 개선하지 못했다.
연구 결과에 따라, 오가논은 OG-6219의 개발을 중단한다. 오가논 후안 카밀로 아르호나 페레이라 최고의료책임자(CMO)는 "이번 연구 결과는 실망스럽다"면서도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는 여성을 포함한 모든 여성에게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선사한다는 당사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의 선 조직과 기질이 자궁 외부 조직에 붙어 증식하는 질환으로, 만성 골반통과 불임을 유발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자궁내막증을 겪는 가임기 여성은 약 1억9000만명이다.
OG-6219는 2021년 오가논이 핀란드 제약사 포렌도 파마를 최대 9억5400만달러(한화 약 1조3000억원)에 인수하면서 확보한 먹는 자궁내막증 신약 후보물질이다. 자궁 성장을 조절하고 염증을 유발하는 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통증을 완화하면서 전신 호르몬 수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했다.
이번 임상은 중등도~중증 자궁내막증 관련 통증을 겪는 18~49세 여성 354명을 대상으로 OG-6219와 위약을 비교한 연구다. 연구 결과, OG-6219는 위약 대비 자궁내막증 관련 골반통을 유의미하게 개선하지 못했다.
연구 결과에 따라, 오가논은 OG-6219의 개발을 중단한다. 오가논 후안 카밀로 아르호나 페레이라 최고의료책임자(CMO)는 "이번 연구 결과는 실망스럽다"면서도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는 여성을 포함한 모든 여성에게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선사한다는 당사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의 선 조직과 기질이 자궁 외부 조직에 붙어 증식하는 질환으로, 만성 골반통과 불임을 유발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자궁내막증을 겪는 가임기 여성은 약 1억9000만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