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자 메시지에 이모지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상대방이 더 따뜻하게 느끼고, 관계 만족도와 유대감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순한 그림 기호가 감정적 관심을 전달하는 '디지털 신호'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미국 텍사스대 연구진은 23~67세 사이의 성인 26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총 15개의 가상 연인 간 메시지 대화를 읽었다. 메시지 내용은 동일했지만, 절반에는 이모지가 포함돼 있고 나머지 절반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참가자에게 본인이 메시지를 보내고 상대의 반응을 받는 상황이라고 가정하도록 했다.
분석 결과, 이모지가 포함된 메시지를 읽은 참가자들은 상대방과 더 감정적으로 연결돼 있고, 상대가 더 관계에 몰입하고 있다고 느꼈다. 전반적인 관계 만족도와 친밀감도 높게 평가했다.
흥미로운 점은 사용된 이모지의 종류는 크게 중요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얼굴 이모지나 심볼 이모지 모두 유사한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연구진은 "어떤 이모지를 쓰느냐보다, 이모지를 썼다는 자체가 감정적 관심과 반응을 전달하는 핵심"이라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허은 박사는 "텍스트 기반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감정이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이모지 사용이 감정적 섬세함을 전달하는 유용한 도구로 작용한다"며 "이모지를 통해 메시지에 '신경 쓴 흔적'이 드러나고, 그로 인해 상대방은 더 소중하게 느낄 수 있다"고 했다. 또한 "메시지에 이모지를 과하게 많이 넣을 필요는 없다"며 "중요한 것은 이모지 자체가 감정과 주의를 표현하는 '디지털 감정 신호'라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PLOS One' 2025년 7월호에 게재됐다.
한편 이모지가 감정 표현 도구로 널리 사용되는 가운데, 이로 인한 언어 능력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유튜브가 의뢰해 2000명의 영국 성인(16~65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응답자의 94%가 "영어가 쇠퇴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중 80%는 원인으로 10대와 젊은 세대를 지목했다. 응답자의 33%는 "이모지가 제대로 된 언어 사용 저하의 원인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으며, 절반 이상은 자신의 맞춤법·문법 능력에 자신이 없다고 밝혔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75%는 "이모지와 자동완성, 맞춤법 검사기에 의존하고 있다"고 답해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대한 높은 의존도가 확인됐다.
미국 텍사스대 연구진은 23~67세 사이의 성인 26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총 15개의 가상 연인 간 메시지 대화를 읽었다. 메시지 내용은 동일했지만, 절반에는 이모지가 포함돼 있고 나머지 절반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참가자에게 본인이 메시지를 보내고 상대의 반응을 받는 상황이라고 가정하도록 했다.
분석 결과, 이모지가 포함된 메시지를 읽은 참가자들은 상대방과 더 감정적으로 연결돼 있고, 상대가 더 관계에 몰입하고 있다고 느꼈다. 전반적인 관계 만족도와 친밀감도 높게 평가했다.
흥미로운 점은 사용된 이모지의 종류는 크게 중요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얼굴 이모지나 심볼 이모지 모두 유사한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연구진은 "어떤 이모지를 쓰느냐보다, 이모지를 썼다는 자체가 감정적 관심과 반응을 전달하는 핵심"이라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허은 박사는 "텍스트 기반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감정이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이모지 사용이 감정적 섬세함을 전달하는 유용한 도구로 작용한다"며 "이모지를 통해 메시지에 '신경 쓴 흔적'이 드러나고, 그로 인해 상대방은 더 소중하게 느낄 수 있다"고 했다. 또한 "메시지에 이모지를 과하게 많이 넣을 필요는 없다"며 "중요한 것은 이모지 자체가 감정과 주의를 표현하는 '디지털 감정 신호'라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PLOS One' 2025년 7월호에 게재됐다.
한편 이모지가 감정 표현 도구로 널리 사용되는 가운데, 이로 인한 언어 능력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유튜브가 의뢰해 2000명의 영국 성인(16~65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응답자의 94%가 "영어가 쇠퇴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중 80%는 원인으로 10대와 젊은 세대를 지목했다. 응답자의 33%는 "이모지가 제대로 된 언어 사용 저하의 원인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으며, 절반 이상은 자신의 맞춤법·문법 능력에 자신이 없다고 밝혔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75%는 "이모지와 자동완성, 맞춤법 검사기에 의존하고 있다"고 답해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대한 높은 의존도가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