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고대안암병원
선천적으로 외이가 충분히 자라지 않는 '소이증' 환자의 귀를 세밀하게 재건할 수 있게 됐다.

소이증은 신생아 7000~8000명 중 한 명에게 발생하는 선천성 안면기형 질환이다. 대부분 한쪽 귀에서만 증상이 나타나지만, 전체 환자의 약 5%에서는 양측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지금까진 귀 형태를 재건하기 위해, 환자의 가슴 연골을 떼어 귀 모양으로 조각하고 결손 부위에 이식하는 방법이 대표적으로 활용돼 왔다. 하지만, 이 방법은 연골을 조각하는데 의료진의 숙련도가 크게 영향을 미치고, 섬세한 귀 구조를 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한계점이 있었다.

고려대 안암병원 성형외과 박호진 교수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3D프린팅 기술을 귀 재건 수술법에 도입했다. 환자의 반대측 정상 귀를 CT나 3D스캐너로 촬영한 후 이를 모델링하고, 3D프린터로 출력해 연골 조각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한다. 귀의 주름, 높낮이, 깊이 등을 실제와 같이 구현할 수 있어 입체적인 귀 구조를 재현할 수 있다.


박호진 교수는 “3D프린트 기술을 활용한 귀 재건 수술은 소이증 환자의 귀를 입체적으로 재건할 수 있어 환자의 외형적인 만족도는 물론 자존감 회복에 큰 도움이 된다”며 “소이증 환자뿐 아니라 외상으로 귀 일부가 손상된 환자에게도 실제와 더욱 유사하게 귀 모양을 재현할 수 있어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만, 소이증 중 단순 외형 문제에 그치지 않고 외이도 폐쇄 등으로 청력 손실이 있다면 이비인후과 진료를 통해 청각재건수술이나 보청기 이식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