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더나는 mRNA(메신저 리보핵산) 독감백신 후보물질 'mRNA-1010'이 임상 3상 시험 'P304'에서 기존 표준 용량 독감백신 대비 유의미하게 높은 예방 효과가 나타났다고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임상에서는 50세 이상 성인 4만805명을 대상으로 mRNA-1010과 GSK의 표준 용량 독감백신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mRNA-1010은 전체 참가자에서 예방 효과가 26.6%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예방 효과가 27.4% 더 높았다.
바이러스주별로 살펴보면, A형 H1N1 바이러스에 대해 29.6%, B형 빅토리아 바이러스에 대해 29.1% 더 높은 예방효과가 나타났으며, A형 H3N2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GSK 백신 대비 22.2% 높은 예방 효과를 보였다.
안전성·내약성의 경우 기존 임상 3상 연구와 일관됐으며, 대부분의 이상 반응은 경증이었다. 가장 흔한 국소 반응은 접종 부위 통증이었다. 피로, 두통, 근육통이 가장 흔한 전신 이상반응으로 보고됐다. 중대한 이상반응, 예상치 못한 이상반응, 특수 관심 이상반응 발생률은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더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향후 의료 학회에서 발표하고, 의료 학술지에 게재할 계획이다. 허가 신청을 위해 각국 규제기관과도 협의할 예정이다.
모더나 스테판 방셀 최고경영자(CEO)는 "mRNA 기반 독감 백신은 유행 바이러스주에 더 정밀하게 대응할 수 있다"며 "향후 대유행 상황에도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고, 코로나19 복합 백신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이점 또한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임상에서는 50세 이상 성인 4만805명을 대상으로 mRNA-1010과 GSK의 표준 용량 독감백신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mRNA-1010은 전체 참가자에서 예방 효과가 26.6%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예방 효과가 27.4% 더 높았다.
바이러스주별로 살펴보면, A형 H1N1 바이러스에 대해 29.6%, B형 빅토리아 바이러스에 대해 29.1% 더 높은 예방효과가 나타났으며, A형 H3N2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GSK 백신 대비 22.2% 높은 예방 효과를 보였다.
안전성·내약성의 경우 기존 임상 3상 연구와 일관됐으며, 대부분의 이상 반응은 경증이었다. 가장 흔한 국소 반응은 접종 부위 통증이었다. 피로, 두통, 근육통이 가장 흔한 전신 이상반응으로 보고됐다. 중대한 이상반응, 예상치 못한 이상반응, 특수 관심 이상반응 발생률은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더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향후 의료 학회에서 발표하고, 의료 학술지에 게재할 계획이다. 허가 신청을 위해 각국 규제기관과도 협의할 예정이다.
모더나 스테판 방셀 최고경영자(CEO)는 "mRNA 기반 독감 백신은 유행 바이러스주에 더 정밀하게 대응할 수 있다"며 "향후 대유행 상황에도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고, 코로나19 복합 백신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이점 또한 갖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