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캐리어에서 공중화장실 변기보다 훨씬 더 많은 세균이 검출돼 화제다.
지난 25일(현지시각) 외신 매체 데일리메일에서는 영국의 한 여행 보험사와 미생물학자 에이미 메일 포인터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한 실험 결과를 보도했다.
연구팀은 공항과 기차역 등 공공장소에서 끌고 다닌 여행용 가방의 바퀴, 바닥면 등을 면봉으로 채취해 세균 수를 분석했다. 그 결과, 캐리어 바퀴에서 3제곱센티미터당 평균 400CFU(집락형성단위)의 세균이 검출됐다. 집락형성단위는 특정한 구역 안의 살아있는 박테리아나 균류 세포 수를 측정하는 단위다. 이는 공중화장실 변기에 있는 세균보다 약 58배 많은 수치다.
에이미 메일 포인터는 “캐리어 바퀴는 거리, 지하철역, 공항 화장실 등 다양한 공공장소의 바닥을 지나며 수많은 오염물에 노출된다”라며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바퀴를 깨끗하게 닦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이어 연구팀은 “숙소에서는 캐리어를 침대, 소파, 카펫 등에 올리지 말고, 수하물 선반에 보관해야 한다”라며 “수하물 선반이 없는 경우, 바퀴에 비닐을 씌워라”라고 말했다. 또 “손잡이에도 세균이 쉽게 침투할 수 있다”며 “캐리어를 만진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고 경고했다. 여행을 다녀온 후, 집에 도착해서는 곧바로 소독용 물티슈나 비누로 캐리어 바퀴를 깨끗하게 닦아야 한다.
지난 25일(현지시각) 외신 매체 데일리메일에서는 영국의 한 여행 보험사와 미생물학자 에이미 메일 포인터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한 실험 결과를 보도했다.
연구팀은 공항과 기차역 등 공공장소에서 끌고 다닌 여행용 가방의 바퀴, 바닥면 등을 면봉으로 채취해 세균 수를 분석했다. 그 결과, 캐리어 바퀴에서 3제곱센티미터당 평균 400CFU(집락형성단위)의 세균이 검출됐다. 집락형성단위는 특정한 구역 안의 살아있는 박테리아나 균류 세포 수를 측정하는 단위다. 이는 공중화장실 변기에 있는 세균보다 약 58배 많은 수치다.
에이미 메일 포인터는 “캐리어 바퀴는 거리, 지하철역, 공항 화장실 등 다양한 공공장소의 바닥을 지나며 수많은 오염물에 노출된다”라며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바퀴를 깨끗하게 닦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이어 연구팀은 “숙소에서는 캐리어를 침대, 소파, 카펫 등에 올리지 말고, 수하물 선반에 보관해야 한다”라며 “수하물 선반이 없는 경우, 바퀴에 비닐을 씌워라”라고 말했다. 또 “손잡이에도 세균이 쉽게 침투할 수 있다”며 “캐리어를 만진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고 경고했다. 여행을 다녀온 후, 집에 도착해서는 곧바로 소독용 물티슈나 비누로 캐리어 바퀴를 깨끗하게 닦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