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젊은 층 사이에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의대 가정의학교실 박상민 교수팀(송치훈 고려대구로병원 연구원)은 코로나19가 젊은 층 ADHD 발병률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질병관리청이 구축한 전국 단위 보건의료 빅데이터(K-COV-N)를 바탕으로 2012~2023년 만 6~29세 인구 전체를 추적 조사했다.
조사 결과, 팬데믹 이전인 2017~2019년 ADHD 발병률은 인구 1000명당 0.85명이었으나 팬데믹 기간이었던 2020~2022년에는 2.02명으로 약 2.4배 증가했다. 특히 10대 청소년과 20대 청년층에서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20~29세 청년층의 경우 팬데믹 이전 대비 ADHD 위험이 약 3.9배 높았다.
ADHD 진단 위험은 코로나19 감염 여부에 따라서도 차이가 났다. 팬데믹 기간 중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들은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보다 ADHD 위험이 평균 1.6배 높았다. 6~12세 아동의 경우 2.4배, 청소년은 약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사회적 거리두기, 원격 수업, 야외 활동 제한 등 팬데믹 중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붕괴가 정신건강에 미친 파장이 내재적으로 나타난 것에 주목했다. 특히 저소득층 아동일수록 감염 시 ADHD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나 취약 계층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됐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ADHD에 대한 인식 변화로 진단 자체가 증가하고 코로나19 감염 후 발생하는 신경염증 및 면역반응의 변화가 뇌 발달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박상민 서울대의대 가정의학교실 교수는 “ADHD는 단순한 학습장애가 아니라 평생 영향을 미치는 교정가능한 신경발달질환”이라며 “팬데믹 이후 ADHD 증가세를 경계하고 감염 이력이 있는 아동·청소년에 대해 조기 개입과 신경학적 평가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서울대 의대 가정의학교실 박상민 교수팀(송치훈 고려대구로병원 연구원)은 코로나19가 젊은 층 ADHD 발병률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질병관리청이 구축한 전국 단위 보건의료 빅데이터(K-COV-N)를 바탕으로 2012~2023년 만 6~29세 인구 전체를 추적 조사했다.
조사 결과, 팬데믹 이전인 2017~2019년 ADHD 발병률은 인구 1000명당 0.85명이었으나 팬데믹 기간이었던 2020~2022년에는 2.02명으로 약 2.4배 증가했다. 특히 10대 청소년과 20대 청년층에서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20~29세 청년층의 경우 팬데믹 이전 대비 ADHD 위험이 약 3.9배 높았다.
ADHD 진단 위험은 코로나19 감염 여부에 따라서도 차이가 났다. 팬데믹 기간 중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들은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보다 ADHD 위험이 평균 1.6배 높았다. 6~12세 아동의 경우 2.4배, 청소년은 약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사회적 거리두기, 원격 수업, 야외 활동 제한 등 팬데믹 중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붕괴가 정신건강에 미친 파장이 내재적으로 나타난 것에 주목했다. 특히 저소득층 아동일수록 감염 시 ADHD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나 취약 계층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됐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ADHD에 대한 인식 변화로 진단 자체가 증가하고 코로나19 감염 후 발생하는 신경염증 및 면역반응의 변화가 뇌 발달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박상민 서울대의대 가정의학교실 교수는 “ADHD는 단순한 학습장애가 아니라 평생 영향을 미치는 교정가능한 신경발달질환”이라며 “팬데믹 이후 ADHD 증가세를 경계하고 감염 이력이 있는 아동·청소년에 대해 조기 개입과 신경학적 평가가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