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번식기를 맞아 예민해진 큰부리까마귀가 사람을 공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가운데 환경부가 행동 요령을 발표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번식기를 맞아 예민해진 큰부리까마귀가 사람을 공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길에서 큰부리까마귀를 발견하면 머리를 보호하고 그 장소를 빨리 벗어나야 한다.

25일, 최근 큰부리까마귀로부터 공격을 받았다는 민원이 증가하자 환경부가 안전과 공존을 위한 국민 행동 요령을 발표했다. 큰부리까마귀는 까마귀류 중 가장 큰 종으로 성체 기준 몸길이가 약 57cm다. 전체적으로 검고 광택이 있으며, 크고 굽어 있는 윗부리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최근 도심 주거지 인근 녹지공원에서 빈번하게 발견된다.

공격 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시기는 3~7월로 큰부리까마귀 번식기에 해당한다. 특히, 새끼가 둥지를 떠나는 5~7월에 공격 사례가 가장 많다. 알이나 새끼를 보호하기 위한 부모 새의 방어 행동 때문이다. 이 시기에는 큰부리까마귀가 예민해져 일상적인 행동도 공격 행동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큰부리까마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큰부리까마귀 둥지나 새끼가 있는 곳을 피한다. 돌아서 다른 길로 가거나 부득이하게 지나야 할 때는 최대한 빨리 움직여 벗어난다. 큰부리까마귀가 주로 머리를 공격한다는 점을 고려해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모자나 우산을 준비하는 것도 방법이다. 큰부리까마귀를 발견하면 공격을 대비해 머리를 가리고 지나가는 게 좋다. 이때 두려움에 큰부리까마귀를 향해 팔을 휘두르거나 물건을 던지는 행동은 삼간다. 오히려 자극받아 공격이 심해질 수 있다.

큰부리까마귀로부터 공격을 당했다면 신속히 119안전센터나 지자체 환경부서에 신고한다. 피해 예방을 위해 환경부가 큰부리까마귀의 서식 실태와 피해 현황을 조사 중이다. 신고할 때 둥지나 새끼 발견 위치, 피해 현장 위치와 사실을 정확히 알리면 후속 조치를 취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공격으로 외상을 입었다면 근처 의료기관에서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새 부리에 쪼이면 피부가 긁히거나 살이 파일 수 있는데, 방치하면 상처가 덧나거나 추가 감염 위험이 있으니 신속히 치료한다.

환경부 김태오 자연보전국장은 “최근 큰부리까마귀로 인한 피해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행동요령을 숙지하고 주의할 필요가 있다”며 “야생 생물 서식지가 도심지역으로 확대되면서 사람과의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지속적으로 이를 살피고 공존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