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리병 음료에서 플라스틱병에 담긴 음료보다 최대 50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입자가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유리병이 플라스틱병보다 더 위생적이라는 통념과는 상반되는 내용이다.
프랑스 식품환경노동위생안전청은 최근 시판 음료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의 양과, 음료 용기 종류가 그 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레모네이드, 탄산수, 생수, 맥주, 와인 등 다양한 음료를 대상으로 각각 유리병, 플라스틱병, 금속 캔에 담긴 제품 내 미세플라스틱 함량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유리병 음료 1리터당 평균 약 100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검출됐다. 이는 같은 음료를 플라스틱병이나 캔에 담았을 때보다 다섯 배에서 많게는 50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유리병 음료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병뚜껑 페인트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크기는 30~50㎛(1마이크로미터는 100만분의 1미터를 의미)로 측정됐다.
미세플라스틱 함량은 음료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물과 와인에는 소량만 들어 있었다. 일반수와 탄산수의 경우 유리병이든 플라스틱병이든 미세플라스틱 양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유리병에서는 리터당 4.5개, 플라스틱병에서는 1.6개가 검출됐다. 와인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병뚜껑이 있는 유리병에 든 와인의 경우에도 미세플라스틱 양이 매우 적었다.
연구팀은 병뚜껑에서 나오는 미세플라스틱 양을 쉽게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제시했다. 병뚜껑에 공기를 불어 먼지를 제거한 다음 물이나 알코올로 헹궜더니 미세플라스틱이 60%나 감소했다. 뚜껑을 먼저 세척한 뒤 닫으면 미세플라스틱의 음료 유입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현재 미세플라스틱의 독성 기준치가 없기에 이러한 수치가 건강에 어떤 위험을 초래하는지는 판단할 수 없다”며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식품 성분과 분석(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에 최근 게재됐다.
프랑스 식품환경노동위생안전청은 최근 시판 음료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의 양과, 음료 용기 종류가 그 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레모네이드, 탄산수, 생수, 맥주, 와인 등 다양한 음료를 대상으로 각각 유리병, 플라스틱병, 금속 캔에 담긴 제품 내 미세플라스틱 함량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유리병 음료 1리터당 평균 약 100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검출됐다. 이는 같은 음료를 플라스틱병이나 캔에 담았을 때보다 다섯 배에서 많게는 50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유리병 음료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병뚜껑 페인트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크기는 30~50㎛(1마이크로미터는 100만분의 1미터를 의미)로 측정됐다.
미세플라스틱 함량은 음료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물과 와인에는 소량만 들어 있었다. 일반수와 탄산수의 경우 유리병이든 플라스틱병이든 미세플라스틱 양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유리병에서는 리터당 4.5개, 플라스틱병에서는 1.6개가 검출됐다. 와인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병뚜껑이 있는 유리병에 든 와인의 경우에도 미세플라스틱 양이 매우 적었다.
연구팀은 병뚜껑에서 나오는 미세플라스틱 양을 쉽게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제시했다. 병뚜껑에 공기를 불어 먼지를 제거한 다음 물이나 알코올로 헹궜더니 미세플라스틱이 60%나 감소했다. 뚜껑을 먼저 세척한 뒤 닫으면 미세플라스틱의 음료 유입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현재 미세플라스틱의 독성 기준치가 없기에 이러한 수치가 건강에 어떤 위험을 초래하는지는 판단할 수 없다”며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식품 성분과 분석(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