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탈출증은 대장 끝부분에서 항문에 이르는 직장이 밖으로 빠져나오는 병이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흔하며, 50세 이상에서 발생률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대개 골반 아래 근육이나 인대가 약한 노령층, 만성 변비를 앓고 있는 사람에게서 잘 생기고 외상이나 임신, 변비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표 증상은 직장이 항문 밖으로 돌출된 느낌이며, 힘을 많이 주면 돌출 증상이 심해지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배변 조절의 어려움, 출혈, 긴장성 변비, 변실금, 요실금이 생길 수 있고 자궁이나 질 탈출증, 장중첩증, 직장류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직장탈출증 진단은 병력과 항문 진찰로 판단하는데, 다른 골반저 질환의 감별과 골반기능 확인을 위해 배변조영술과 항문 직장 내압 검사 등을 진행한다. 하지만 치질과 혼동되기 쉬운 증상 때문에 많은 여성 환자가 질환의 존재조차 인지하지 못하거나 치료 시기를 놓친다.
실제 60대 여성 환자 A씨는 "평소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로 몸이 무거운 느낌이 들어서 굽은 허리 때문인 줄 알았는데 진료를 받아보니 직장이 항문 밖으로 빠져나와 있었다"며 "수술 치료 후 무거운 느낌이 사라져 굽었던 허리도 펴지고 건강한 삶을 얻었다"고 말했다.
여성의 골반 구조 특성과 출산 이력 등으로 인해 직장탈출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많은 여성 환자가 질환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불편을 감내하기만 하고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여성직장류는 식이섬유 섭취나 대변 연화제, 바이오피드백 등의 보존적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로 완화되지 않는 골반장기탈출증이나, 직장이 완전히 외부로 돌출된 '전직장탈출증'의 유일한 치료법은 수술이다.
직장탈출증 수술은 접근 방법에 따라 복강을 통한 복부 접근술과 항문 주변을 통해 직장의 일부를 제거하는 회음부 접근술로 나뉘는데, 회음부 접근술은 재발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대개 골반 아래 근육이나 인대가 약한 노령층, 만성 변비를 앓고 있는 사람에게서 잘 생기고 외상이나 임신, 변비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표 증상은 직장이 항문 밖으로 돌출된 느낌이며, 힘을 많이 주면 돌출 증상이 심해지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배변 조절의 어려움, 출혈, 긴장성 변비, 변실금, 요실금이 생길 수 있고 자궁이나 질 탈출증, 장중첩증, 직장류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직장탈출증 진단은 병력과 항문 진찰로 판단하는데, 다른 골반저 질환의 감별과 골반기능 확인을 위해 배변조영술과 항문 직장 내압 검사 등을 진행한다. 하지만 치질과 혼동되기 쉬운 증상 때문에 많은 여성 환자가 질환의 존재조차 인지하지 못하거나 치료 시기를 놓친다.
실제 60대 여성 환자 A씨는 "평소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로 몸이 무거운 느낌이 들어서 굽은 허리 때문인 줄 알았는데 진료를 받아보니 직장이 항문 밖으로 빠져나와 있었다"며 "수술 치료 후 무거운 느낌이 사라져 굽었던 허리도 펴지고 건강한 삶을 얻었다"고 말했다.
여성의 골반 구조 특성과 출산 이력 등으로 인해 직장탈출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많은 여성 환자가 질환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불편을 감내하기만 하고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여성직장류는 식이섬유 섭취나 대변 연화제, 바이오피드백 등의 보존적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로 완화되지 않는 골반장기탈출증이나, 직장이 완전히 외부로 돌출된 '전직장탈출증'의 유일한 치료법은 수술이다.
직장탈출증 수술은 접근 방법에 따라 복강을 통한 복부 접근술과 항문 주변을 통해 직장의 일부를 제거하는 회음부 접근술로 나뉘는데, 회음부 접근술은 재발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해외 연구에 따르면 65세 미만 환자를 기준으로 복부 접근술과 회음부 접근술의 재발률이 각각 6.1%, 16.3%으로 보고됐다.
복부 접근술은 수술기구를 골반에 접근한 뒤 직장을 당겨 인공막으로 받혀주는 방식의 수술로, 장기를 보존하면서 근본적으로 잘못된 구조를 바로잡아주기 때문에 재발율과 수술 위험성이 낮다.
직장탈출증은 복강경이나 로봇을 활용한 최소 침습 수술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조기에 대장항문외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회복의 첫걸음이다.
직장탈출증을 예방하려면 만성변비가 원인일 경우 변비 예방이 중요하다. 배변을 용이하게 하는 채소, 과일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변비가 자주 발생하면 의사와 상담해 변비약 복용을 고려해야 한다.
(*이 칼럼은 한솔병원 이철승 진료부장의 기고입니다.)
복부 접근술은 수술기구를 골반에 접근한 뒤 직장을 당겨 인공막으로 받혀주는 방식의 수술로, 장기를 보존하면서 근본적으로 잘못된 구조를 바로잡아주기 때문에 재발율과 수술 위험성이 낮다.
직장탈출증은 복강경이나 로봇을 활용한 최소 침습 수술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조기에 대장항문외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회복의 첫걸음이다.
직장탈출증을 예방하려면 만성변비가 원인일 경우 변비 예방이 중요하다. 배변을 용이하게 하는 채소, 과일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변비가 자주 발생하면 의사와 상담해 변비약 복용을 고려해야 한다.
(*이 칼럼은 한솔병원 이철승 진료부장의 기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