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 급식으로 나온 풀무원 빵을 섭취하고 집단 식중독에 감염된 사례가 추가로 확인됐다.
지난 23일 질병관리청이 정례 브리핑을 통해 ‘빵류 관련 살모넬라균 감염증 다기관 집단발생 모니터링’ 결과, 집단발생 사례 3건, 유증상자 48명이 추가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집단발생 사례는 경기 용인, 전남 나주, 경남 창원에서 발생했으며 유증상자는 용인에서 40명, 나주에서 16명, 창원에서 2명 발생했다. 이로써 급식소에서 제공된 빵류를 섭취하고 살모넬라 감염증이 집단 발생한 사례는 총 7건, 유증상자는 256명으로 늘었다.
앞서 지난달 15일, 충북 청주와 진천의 집단 급식소에서 제공된 빵을 섭취한 뒤 식중독 증상을 보인 환자들이 연이어 발생해 논란이 된 바 있다. 당시 조사 결과 식품과 환자에게서 동일한 유전형의 살모넬라균이 검출됐다.
문제가 된 제품은 식품제조·가공업체 마더구스가 제조하고 풀무원 계열 푸드머스가 유통·판매한 ‘고칼슘 딸기크림 롤케이크’와 ‘코칼슘 우리밀 초코바나나빵’이다. 지난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문제 제품의 판매를 중단하고 회수 조치한 상태다. 질병청은 제품을 회수한 뒤 새롭게 발생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박영준 질병청 감염병관리과장은 “비슷한 시기 신고된 집단 식중독 사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면서 연관성을 확인했다”며 “같은 빵 섭취 이력과 살모넬라균이 확인돼 (동일한) 감염원에 의한 사례로 추정했다”고 말했다.
한편,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살모넬라균이나 병원성대장균 등에 의한 식중독이 빈번히 발생해 주의해야 한다. 닭이나 오리, 돼지 등 동물의 장이나 자연에 널리 퍼져 있는 식중독균인 살모넬라균이 섭씨 37도에서 가장 잘 자라기 때문이다. 살모넬라균에 감염되면, 잠복기인 6~72시간이 지나고 발열, 복통, 설사, 구토,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4~7일 정도 지나면 대부분 회복이 된다. ▲음식 섭취 전 손 씻기 ▲달걀과 고기 등의 음식 익혀 먹기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 폐기하기 ▲과일과 채소를 깨끗이 씻어 먹기 등을 실천하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지난 23일 질병관리청이 정례 브리핑을 통해 ‘빵류 관련 살모넬라균 감염증 다기관 집단발생 모니터링’ 결과, 집단발생 사례 3건, 유증상자 48명이 추가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집단발생 사례는 경기 용인, 전남 나주, 경남 창원에서 발생했으며 유증상자는 용인에서 40명, 나주에서 16명, 창원에서 2명 발생했다. 이로써 급식소에서 제공된 빵류를 섭취하고 살모넬라 감염증이 집단 발생한 사례는 총 7건, 유증상자는 256명으로 늘었다.
앞서 지난달 15일, 충북 청주와 진천의 집단 급식소에서 제공된 빵을 섭취한 뒤 식중독 증상을 보인 환자들이 연이어 발생해 논란이 된 바 있다. 당시 조사 결과 식품과 환자에게서 동일한 유전형의 살모넬라균이 검출됐다.
문제가 된 제품은 식품제조·가공업체 마더구스가 제조하고 풀무원 계열 푸드머스가 유통·판매한 ‘고칼슘 딸기크림 롤케이크’와 ‘코칼슘 우리밀 초코바나나빵’이다. 지난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문제 제품의 판매를 중단하고 회수 조치한 상태다. 질병청은 제품을 회수한 뒤 새롭게 발생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박영준 질병청 감염병관리과장은 “비슷한 시기 신고된 집단 식중독 사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면서 연관성을 확인했다”며 “같은 빵 섭취 이력과 살모넬라균이 확인돼 (동일한) 감염원에 의한 사례로 추정했다”고 말했다.
한편,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살모넬라균이나 병원성대장균 등에 의한 식중독이 빈번히 발생해 주의해야 한다. 닭이나 오리, 돼지 등 동물의 장이나 자연에 널리 퍼져 있는 식중독균인 살모넬라균이 섭씨 37도에서 가장 잘 자라기 때문이다. 살모넬라균에 감염되면, 잠복기인 6~72시간이 지나고 발열, 복통, 설사, 구토,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4~7일 정도 지나면 대부분 회복이 된다. ▲음식 섭취 전 손 씻기 ▲달걀과 고기 등의 음식 익혀 먹기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 폐기하기 ▲과일과 채소를 깨끗이 씻어 먹기 등을 실천하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