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고려대 안산병원 안과 엄영섭 교수가 개발한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이 최근 임상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올렉시 V. 보이체키브스키와 케네스 J. 호퍼, 데이비드 L. 쿡, 자코모 사비니가 최신 공식들을 포함한 36가지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의 정확도를 비교한 논문을 학술지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2025년 5월호에 발표했다.

해당 연구에서 엄 교수가 개발한 'EOM IOL power calculator'가 36가지 공식 중 네 번째로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엄 교수의 계산 공식이 적은 입력값으로도 고정확도를 달성, 기기 인프라가 부족한 환경에서도 실용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봤다.


엄 교수의 성을 딴 'EOM IOL power calculator'는 각막 굴절력, 전방 깊이, 안축장 등 3가지 생체계측 측정값의 인식 하위 범위를 768개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 하위 그룹에 따라 계산 방법을 다르게 적용해 결괏값을 추출하는 계산법이다. 기존 448개였던 생체 인식 하위 그룹을 768개로 확장하면서 대부분의 눈에서도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을 가능하게 했다.

엄 교수는 “대부분의 최신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은 다양한 생체계측값을 활용해 정확도를 높이고 있지만, EOM IOL Power Calculator는 기본값인 각막 굴절력, 전방 깊이, 안축장만으로도 높은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다”며 ”이는 장비가 제한된 개발도상국이나 개인병원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의료 접근성과 환자 혜택 확대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했다.

한편, 엄 교수는 현재 라식·라섹과 같은 각막굴절수술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을 개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