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낮 동안 뜨거운 햇살이 내리쬐며 거리에 양산을 쓴 이들이 하나둘 늘고 있다.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양산은 피부 건강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일광 화상, 광노화 등 각종 피부 트러블이 생길 수 있고, 심하면 피부암까지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을 위해서는 양산도 아무 우산이나 써선 안 되며, 더 꼼꼼하게 골라야 한다.
먼저 제품이 '표준 양산' 기준에 적합한지 살펴야 한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표준 양산' 규격을 정해 놓고, 자외선 차단율을 제품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표준 양산은 ▲살의 길이가 650mm 미만인 소형 양산은 자외선 차단율 85% 이상 ▲살의 길이가 650mm 이상인 대형 양산은 자외선 차단율이 90% 이상이어야 한다. 자외선 차단율은 'UV 00%'로 표시되어 있다.
자외선을 더욱 확실하게 차단하고 싶다면, 양산의 색상도 확인해야 한다. 색에 따라 햇빛을 반사하거나 흡수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흰색은 햇빛을 잘 반사하고, 검은색은 흡수력이 뛰어나다. 따라서 양산의 바깥쪽은 흰색, 안쪽은 검은색 계열을 선택하는 게 좋다. 검은색이 없다면 최대한 어두운 계열 색을 고르면 된다. 이렇게 하면 외부의 햇빛은 반사하고, 바닥에서 반사되는 자외선과 내부의 열기는 차단할 수 있다.
양산의 소재도 중요하다. 폴리에스테르, 면, 마, 실크 등 자외선 차단 기능이 뛰어난 소재로 이중 처리된 양산을 고르는 것이 좋다. 반면, 망사처럼 비치는 천으로 만들어졌거나, 코팅이 안 된 양산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또 레이스나 주름 등이 있는 양산도 자외선 투과율이 높아 자외선 차단 효과가 떨어진다. 두꺼운 소재의 민무늬 양산을 선택하는 것을 권한다.
양산이 없다면 차선책으로 검은색 우산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미국 에모리의대 연구팀의 실험에 따르면, 여러 색상의 우산 23개의 자외선 투과량을 오전 11시부터 정오까지 측정한 결과, 검은색 우산은 모두 9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였다. 반면, 흰색 우산은 가장 낮은 차단율을 기록했다.
먼저 제품이 '표준 양산' 기준에 적합한지 살펴야 한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표준 양산' 규격을 정해 놓고, 자외선 차단율을 제품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표준 양산은 ▲살의 길이가 650mm 미만인 소형 양산은 자외선 차단율 85% 이상 ▲살의 길이가 650mm 이상인 대형 양산은 자외선 차단율이 90% 이상이어야 한다. 자외선 차단율은 'UV 00%'로 표시되어 있다.
자외선을 더욱 확실하게 차단하고 싶다면, 양산의 색상도 확인해야 한다. 색에 따라 햇빛을 반사하거나 흡수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흰색은 햇빛을 잘 반사하고, 검은색은 흡수력이 뛰어나다. 따라서 양산의 바깥쪽은 흰색, 안쪽은 검은색 계열을 선택하는 게 좋다. 검은색이 없다면 최대한 어두운 계열 색을 고르면 된다. 이렇게 하면 외부의 햇빛은 반사하고, 바닥에서 반사되는 자외선과 내부의 열기는 차단할 수 있다.
양산의 소재도 중요하다. 폴리에스테르, 면, 마, 실크 등 자외선 차단 기능이 뛰어난 소재로 이중 처리된 양산을 고르는 것이 좋다. 반면, 망사처럼 비치는 천으로 만들어졌거나, 코팅이 안 된 양산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또 레이스나 주름 등이 있는 양산도 자외선 투과율이 높아 자외선 차단 효과가 떨어진다. 두꺼운 소재의 민무늬 양산을 선택하는 것을 권한다.
양산이 없다면 차선책으로 검은색 우산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미국 에모리의대 연구팀의 실험에 따르면, 여러 색상의 우산 23개의 자외선 투과량을 오전 11시부터 정오까지 측정한 결과, 검은색 우산은 모두 9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였다. 반면, 흰색 우산은 가장 낮은 차단율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