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 연합뉴스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또 다시 의약품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지난 두 달 동안 수차례 의약품 관세를 언급한 가운데, 구체적인 부과 시기에 관심이 모인다. 다만, 의약품 관세 정책이 시행되더라도 한국 기업들이 받게 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7일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 후 조기 귀국 중 “의약품 관세를 곧 발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 관세를 예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 지난 4월부터 여러 차례 의약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초에는 “2주 안에 발표하겠다”며 구체적인 시기를 특정하기도 했다. 다만, 실제 2주가 지났음에도 의약품 관세 정책은 발표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잇따라 의약품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전세계 제약·바이오 기업들 또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미 몇몇 대형 글로벌 제약사들은 제조·운영 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리쇼어링’에 착수한 상태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우 미국이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대부분 영향권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의약품 관세 부과에 따른 수익 감소는 현지에 제품을 직접 ​수출·판매하는 기업들이 겪게 될 문제로, 주로 기술 수출이나 CDMO(위탁생산개발) 사업을 전개하는 우리 기업들은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대신증권 이희영 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산업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은 미국 의약품 수입에서 약 1.6%의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관세 정책의 주요 타깃이 될 가능성이 낮다”며 “의약품에 품목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한국은 한미 FTA를 통해 특별 세율 적용이 가능해, 협상에 따라 실질적으로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오히려 미국의 의약품 관세 정책으로 인해 중국과 인도의 대체 공급처로서 한국산 원료와 CDMO에 대한 수요 확대를 기대해볼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 연구원은 “중국과 인도는 미국 수입 의약품 중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 비중이 높고 지정학적으로도 미국의 전략적 경쟁국으로 간주되는 만큼, 관세 부과의 주요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중국·인도산 의약품에 관세가 적용될 경우, 가격 경쟁력 저하로 인해 미국 내 대체 공급처 수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 기업이 반사 수혜를 받을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했다.